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지난해 거액의 대출을 받아 재개발 예정지 건물을 산 것을 둘러싸고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김 대변인은 28일 “30년 무주택자로, 실거주 목적”이라고 해명했지만, 자유한국당을 비롯한 야당은 일제히 “서민은 꿈도 못 꿀 부동산 투기”라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청와대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7월 10억원의 은행대출을 받아 서울 동작구 흑석동에 25억7천만원짜리 복합건물을 산 이유 등을 설명했다. 그는 “결혼 뒤 30년 가까이 집 없이 전세를 살다가, (청와대 대변인에 임명된 뒤인) 지난해 2월부터 청와대 관사에서 살고 있다”며 “물러나면 관사도 비워줘야 해 집을 살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이어 “흑석동에서 중개업을 하는 가까운 친척이 이 매물을 살 것을 제안했다. 재개발이 완료되면 노모를 모실 수 있는 아파트와 상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투기 의혹과 관련해서는 “이미 집이 있는데 또 사거나, 시세차익을 누리고 되파는 (투기의)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10억원의 은행 대출금이 과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상환할 수 있는 방법과 계획이 있다. 그러나 가정사와 관련된 문제여서 답변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야당은 비판의 날을 세웠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엄청난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마련한 것은 누가 봐도 투기”라며 “문재인 정권의 디엔에이(DNA)는 부동산 투기였다는 것이 밝혀졌다”고 논평했다. 자유한국당은 김 대변인의 사퇴와 문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김정화 바른미래당 대변인과 홍성문 민주평화당 대변인도 각각 “김 대변인이 자신의 소득주도성장을 위해 고군분투 중” “정부가 재개발, 재건축 투기 억제에 골몰할 때 김 대변인은 재개발 투기를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한 여권 인사는 “집값을 잡으려고 강력한 대출 규제 정책을 펴고 있는데, ‘정부의 얼굴격’인 청와대 대변인이 집과 상가를 사려고 본격적인 대출 규제가 시행되기 전에 거액을 대출받았다는 건 매우 뼈아픈 대목”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말을 아꼈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답답하게 보고 있지만, 언급은 피하는 분위기”라며 “김 대변인이 매입 때 파장을 예상했을 텐데 의아하다”고 했다. 야당의 공세와 관련해서는 “대출 압력을 넣거나 투기를 한 게 아니다. 사퇴할 사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성연철 정유경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