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이달 안으로 일자리, 주거, 결혼 등 2030세대가 직면한 문제를 다룰 청년정책비서관 자리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일 “우리 사회를 지탱해야 할 미래세대들이 일자리와 주거, 결혼, 출산, 보육, 교육 문제 등으로 힘들어하고 있다”라며 “청와대에 청년정책비서관을 신설해 직접 소통하고 정책을 조율하는 창구를 마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2030세대 문제를 당사자가 직접 중심이 되어 푼다는 차원에서 30대에서 청년정책비서관 적임자를 찾으려 한다”며 “이미 여당과 시민사회, 청년단체 등에서 추천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청년정책비서관은 시민사회수석실 산하에 둘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도 국무총리실을 청년문제 해결의 ‘콘트롤타워'로 지정하고 당정청 간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여러 정부 부처에 흩어져 있는 청년정책의 총괄 조정 기능을 국무총리실 소속 청년정책조정위원회로 모으고, 그 사무국 개념으로 국무조정실 내에 청년정책추진단을 신설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당정청은 5월 임시국회에서 청년기본법 제정안을 통과시키는 것으로 목표를 야당을 적극적으로 설득하기로 했다. 민주당도 당내 상설기구로 청년미래연석회의를 둘 계획이다.
당정청의 이런 방침은 최근 20대 남성을 중심으로 지지율 하락 현상이 이어지는 것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성세대가 중심이 돼 국정을 운영하다 보니 아무래도 젊은 세대의 소외감을 이해하는 데 감수성이 부족한 측면이 있다”라며 “이달 안으로 비서관을 임명하려 한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