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제공
중앙경찰학교 졸업식 참석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조국 법무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검경) 수사권 조정과 자치 경찰 도입 법안을 국회에서 조속히 매듭지어 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충주시 수안보면에서 열린 중앙경찰학교 졸업식에서 “수사권 조정이 되고 자치경찰이 도입되면 시민과의 거리는 한층 가까워지고 치안서비스의 질이 보다 높아질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문 대통령은 독립운동가들이 경찰에 몸담았던 사례와 함께 광주 민주화운동과 제주 4·3 사건 당시 시민을 보호하려 발포 명령을 거부한 경찰 간부들을 경찰의 모범으로 꼽았다. 그는 “100년 전인 1919년 4월 25일, 임시정부 경무국이 설치되고 임시정부의 문지기를 자처했던 백범 김구 선생이 초대 경무국장으로 취임했다”며 “백범 선생의 ‘애국안민’ 정신은 우리 경찰의 뿌리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광복 후에는 많은 독립운동가가 경찰에 투신하여 민주 경찰의 역사를 이었다”며 “도산 안창호 선생의 조카이자 독립운동단체 결백단에서 활동한 안맥결 제3대 서울 여자경찰서장, 함흥 3·1운동의 주역 전창신 인천 여자경찰서장, 광복단 군자금을 모았던 최철룡 경남 경찰국장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모두 쉰한 분의 독립운동가 출신 경찰이 확인되고 있다”고 했다. 이어 “국민과 조국의 미래를 위해 헌신한 선구자들의 정신은 민간인 총살 명령을 거부하고 수많은 목숨을 구해낸 제주 4·3 시기 문형순 제주 성산포 서장, 신군부의 시민 발포 명령을 거부한
80년 5월 광주 안병하 치안감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임시정부에 뿌리를 둔 자랑스러운 역사도 과거의 아픈 역사도 모두 경찰의 역사”라며 “새로운 100년의 역사를 써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