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석 대변인, 한정우 춘추관장.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청와대 대변인에 강민석(54) 전 <중앙일보> 콘텐트제작 에디터를 임명했다. 임명 직전인 이달 초 <중앙일보>에서 사직한 탓에 언론인의 청와대 직행을 두고 적절성에 관한 비판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이날 총선에 출마하려 물러난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 후임으로 강 대변인을 임명했다. 강 대변인은 <중앙일보> 정치부장과 논설위원을 지냈다.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출입 기자를 지내 현 정권 인사들과 친분이 있고, 문재인 정부에 대한 이해도와 애정이 깊은 것으로 알려진다. 합리적이고 신중하다는 평이다.
강 대변인은 지난 3일 <중앙일보>를 퇴사한 뒤 사흘 만에 청와대 대변인으로 임명됐다. 사실상 언론인에서 청와대 참모로 직행한 셈이다.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의 경우도 <한겨레> 기자 출신이었는데, 2017년 7월 퇴사한 뒤 이듬해 2월 청와대 대변인에 임명됐다. 지난해 1월 <문화방송> 출신 윤도한 국민소통 수석과 <한겨레> 출신 여현호 국정홍보비서관이 청와대 참모로 합류할 때도 적절한지 여부를 두고 비판이 있었다. 당시 문 대통령은 새해 기자회견에서 “현직 언론인이 청와대에 오는 것이 괜찮은 것이냐고 비판한다면 달게 받을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으로서 욕심은 청와대에 가장 유능한 사람을 모시고 싶다. 언론 영역에서 공공성을 살려온 분들이 청와대로 와서 잘 해준다면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언론학자들은 비판을 제기했다. 권혁남 전북대 신문방송학 교수는 “언론인이 현직에서 바로 청와대 권력기관으로 직행하는 것은 권력의 충실한 감시와 견제라는 언론의 기본 역할이 훼손될 수 있다. 언론 신뢰도가 추락한 상황에서 독자들에게도 보도의 진정성이 제대로 전달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공무원의 일정기간 유관기간 취업 제한처럼 언론인들에게도 유예기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도 “정권과 언론인 간 고착된 구조, 유착된 관계의 절연 냉각기간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총선에 나선 유송화 전 춘추관장 후임으로 한정우(49) 부대변인을 임명했다. 성연철 기자, 문현숙 선임기자
hyuns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