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취임 3주년 대국민 특별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나온 열쇳말 중에는 ‘선도형 경제’와 ‘한국판 뉴딜’도 있다. 코로나 이후 한국 경제의 방향으로 제시된 것들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우리 경제의 상황을 “경제 전시 상황”으로 규정하면서 “미래를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시간”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지금이) 우리에겐 절호의 기회”라며 선도적 경제를 통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여러 차례 선도형 경제를 언급했다. ‘포스트 코로나(코로나 이후) 시대’ 개척의 관건이 선도형 경제의 창출 여부에 있다는 취지다. 선도형 경제의 대표적 사례로는 정보통신기술(ICT)과 바이오 분야, 비대면 의료서비스와 온라인 교육, 온라인 거래를 꼽았다. 한국 기업들이 상대적 우위를 유지하고 있는 첨단산업 분야들이다. ‘3대 신성장 산업’도 언급했다. 미래 먹거리 창출의 핵심인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 산업이다.
국외로 나간 우리 기업의 국내 유턴과 외국의 첨단산업 유치에도 힘쓸 것이라고 했다. 지금과 같은 세계적 불황과 코로나 이후 세계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첨단 제조업에 대한 집중 투자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문 대통령은 “세계는 이제 값싼 인건비보다 혁신 역량과 안심 투자처를 선호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이 첨단산업의 세계 공장이 되어 세계 산업지도를 바꾸겠다”고 말했다.
‘한국판 뉴딜’의 핵심이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 있다고 밝힌 대목도 주목할 부분이다. 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는 미래 선점 투자”라며 “5세대(5G) 인프라와 데이터 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하는 사업을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존 도로와 교통망, 산업공단 등에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을 결합하는 국가 기반시설 스마트화를 통해 대규모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