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2일 국민소통수석에 정만호 강원도 경제부지사를 내정했다. 사회수석에는 윤창렬 국무조정실 국정운영실장을 내정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정 내정자는 참여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 의전비서관을 지내고 강원 부지사를 하는 등 다양한 경험을 지녔다”라며 “대내외 소통 역량이 뛰어나다는 평가가 있어 국정 운영과 관련한 사안을 국민께 쉽고 정확히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창렬 내정자에 대해서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복지 교육 문화 환경 여성 등 사회 분야의 조정 역량이 탁월하다”라며 “포용국가를 위한 업무를 원만하게 수립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두 내정자 모두 강원 출신이다.
청와대는 최근 다주택 참모 홍역을 의식한 듯 두 내정자가 두 채의 주택을 지녔지만 현재 모두 1채를 처분하고 있다고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두 수석 내정자 모두 두 채를 소유했지만, 한 채는 매매 계약을 맺고 처리하고 있어 사실상 현재 1 주택자다”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발표한 고위직 인사에서 발표한 세 명의 청와대 수석 모두 무주택자 또는 일 주택자다. (윤종인) 개인정보보호 위원회 위원장도 서울 서초구 아파트와 세종시의 분양권을 지니고 있었는데 서초구 아파트를 처분했고, (김대지) 국세청장 후보자도 무주택자다”라며 “이를 보면 공직사회 문화가 바뀌고 있음을 알 것이라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사의를 표시한 노영민 비서실장의 거취에 관해서는 말을 아꼈다. 이 관계자는 “추가 인사 여부는 대통령의 인사권에 관한 사안이라 답변하기 곤란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어 “다만, 이번 인사는 최근 상황을 책임지겠다는 점에서 이어진 일괄 사의에 대한 후속 조치”라고 말해 ‘여진’ 가능성을 암시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