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35A는 공군의 첫 5세대 전투기로 저피탐 형상설계와 특수도료 사용으로 레이다 탐지를 최소화하는 스텔스 기능을 보유한 전투기이다. 공군 누리집
공군 최신 전투기인 공군 에프(F)-35에이(A) 가 비행 중 기체 이상으로 비상착륙했다. 공군은 이날 오후 12시51분께 F-35A 1대가 훈련 중 항공전자계통 이상으로 랜딩기어(착륙장치)가 내려오지 않아 충남 서산의 제20전투비행단 활주로에 동체착륙했다고 밝혔다. 동체착륙은 착륙장치가 고장났을 때 비행기의 몸체를 직접 땅 바닥에 대어 착륙하는 방식이다.
동체착륙을 하려면 마찰열에 의한 화재 발생에 대비해 착륙 전 항공연료를 최대한 버려야 하고 기체를 최대한 수평으로 유지한 채 속도를 줄여 활주로에 닿도록 해야 한다. 조종사 기량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 공군소방차가 동체착륙 전 서산기지 활주로에 특수거품을 깔아 동체 바닥과 활주로의 마찰을 최소화했다. 이 거품과 조종사의 실력 덕분에 기체 손상도 거의 없고 조종사도 무사하다고 공군은 전했다.
공군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고, 결과가 나올 때까지 같은 기종인 F-35A 비행을 중단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 전투기는 미국 록히드마틴이 만들었고, 국내에는 40여대 도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1대당 가격은 1190억원이다. 최대 속도는 마하 1.6이며, 전투행동반경은 1093㎞라서 북한 전역뿐만 아니라 일본 도쿄와 중국 동부권까지 작전이 가능하다.
F-35A는 레이더 전파 탐지를 피하는 스텔스 기능을 갖춘 5세대 전투기다. 레이더에 잘 잡히지 않기 때문에, 상대 방공망에 걸리지 않고 침투해서 상대 핵심 시설과 지휘시설을 파괴할 수 있다. 재래식 군비경쟁에서 열세인 북한은 우리 공군의 F-35A 도입에 대해 관영 매체를 통해 예민하게 반응해왔다. 북한은 F-35A 도입이 고의적인 엄중한 도발이라면서, 남북합의 정신을 위반한 것이자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대한 도전이라고 주장한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