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11일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를 참관하셨다”며 “극초음속 활공 비행전투부는 1000㎞ 수역의 설정 표적을 명중했다“고 <노동신문>이 12일 1면 전체에 펼쳐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전날 극초음속 미사일의 “최종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했지만, 국방부는 12일에도 ‘탄도미사일’이란 표현을 사용했다.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부승찬 대변인은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돼서는 한미 정보자산에 의해서 탐지된 근거로 국방부가 발표한 것”이라며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한미정보당국 간에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앞서 5일과 11일 북한이 쏜 미사일을 극초음속 미사일로 인정하는데는 이날도 신중한 태도다.
북한 미사일이 극초음속인지 아닌지는 판단할 잣대는 활공 속도이다. 이 미사일이 대기권에 재진입한 뒤 마지막 단계에서 표적까지 저고도로 미끄러지듯 비행하는 활공 속도가 마하 5(시속 6120㎞)를 넘기면 극초음속 미사일이다.
북한 <노동신문>은 이날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는 거리 600㎞ 계선에서부터 활공 재도약하며 초기 발사 방위각으로부터 목표점 방위각에로 240㎞ 강한 선회기동을 수행해 1000㎞ 수역의 설정 표적을 명중했다”고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했다. 하지만 북한은 극초음속 미사일 판단의 관건인 비행 최대 속도, 활공 단계 속도는 밝히지 않았다. 활공 재도약과 선회 기동은 기존 탄도미사일에도 적용된 기술이다. 합참은 전날 “발사체의 비행거리는 700㎞ 이상, 최대 고도는 약 60㎞, 최대 속도는 마하 10 내외”라고 분석했지만, 활공 단계 속도는 설명하지 않았다. 현재 남북 모두 극초음속 미사일 여부를 두고 ‘주장’만 내세우고 판단 근거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
군 당국은 전날 발사된 북한 미사일도 지난 5일 북한 미사일처럼 개량된 탄도미사일인 기동형 탄두 재진입체(MARV)일 가능성 쪽에 비중을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동형 탄두 재진입체는 정확도를 높이고 요격을 피하기 위해 대기권에 재진입 이후 포물선 하강 궤적을 벗어나 이리저리 기동 비행을 하는 미사일을 뜻한다. 합참이 북한 미사일 최대 속도를 ‘최대 마하 10 내외’로 탐지했는데, 이는 발사 초기 상승 단계에서 정점 고도를 찍기까지 속도였고 하강해 활공 단계에서는 이런 속도가 줄곧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은 미국, 일본 쪽이 탐지한 북한 미사일 정보까지 모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극초음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본다. 북한이 발표한 사거리 1천㎞는 전날 합참이 밝힌 사거리 700㎞ 이상과는 차이가 있는데, 북한 미사일이 후반 비행할 때 300㎞ 가량 저고도로 선회 기동을 하면서 한국군 레이더에 완벽하게 탐지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북한 미사일이 한반도에서 동쪽으로 멀어질수록 한국군 레이더가 포착하기 어려워진다. 군 당국은 극초음속 미사일 여부를 가름할 활공 비행 속도를 파악하려면 미국·일본 쪽이 탐지한 정보까지 모아 정밀 분석해야 하므로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민간 전문가들 의견도 갈린다. 비록 완전하진 않지만 극초음속 미사일로 봐야 한다는 쪽과 기동형 탄두 재진입체에 가깝다는 쪽으로 나뉜다. 하지만 북한이 1년 만에 애초 주변국의 예상을 뛰어넘는 매우 빠른 속도로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