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8~10일 평양 노동당 본부회의실에서 진행된 ’노동당 중앙위 8기5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자위권은 곧 국권 수호 문제”라며 “강 대 강, 정면승부의 투쟁원칙을 재천명하셨다”고 <노동신문>이 11일 1~4면에 펼쳐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자위권은 곧 국권 수호 문제”라며 “강 대 강, 정면승부의 투쟁 원칙을 재천명하셨다”고 <노동신문>이 11일 1~4면에 펼쳐 보도했다.
김정은 총비서는 8~10일 평양 노동당 본부회의실에서 진행된 ’노동당 중앙위 8기5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국가의 안전환경은 매우 심각하며 주변정세는 더욱 극단하게 격화될 수 있는 위험성을 띠고 있으며 이같은 정세는 국방력 강화를 위한 목표 점령을 더욱 앞당길 것을 재촉하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김 총비서가 “국가 방위력 강화에 계속 큰 힘을 넣을 데 대하여 강조하셨다”고 신문은 전했다.
<노동신문>이 보도한 김 총비서의 전원회의 의제별 ’결론’(마무리 언급)에는 ‘핵’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지 않는다. 아울러 남쪽과 미국을 직접 겨냥한 구체적 언급도 없다. 최근 북한의 7차 핵실험 강행 여부를 두고 가파르게 높아진 한반도 정세의 위기지수를 고려할 때, 예상보다는 강경하지 않은 공개 언급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남쪽을 사실상 겨냥한 “대적 투쟁”이라는 표현이 등장해, 앞으로 윤석열 정부에 대한 정책 기조가 매우 강경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김 총비서가 “대적 투쟁과 대외 사업 부문에서 견지해야 할 원칙들과 전략전술적 방향들을 천명”했다고 신문은 전했는데, 이는 직전 노동당 전원회의(8기4차, 2021년 12월27~31일) 때의 “북남관계와 대외사업부문에서 견지하여야 할 원칙적 문제들과 일련의 전술적 방향들”이라는 표현에서 ‘북남관계’를 ‘대적 투쟁’이라는 문구로 바꾼 것에 가깝다.
<노동신문>이 공개한 김 총비서의 대남·대미 등 대외정책 관련 언급은 42자짜리 이 한 문장에 불과해, 앞으로 김 총비서가 구사할 대남·대미 정책을 구체적으로 전망하기는 어렵다. “강 대 강, 정면승부”라는 강경한 원칙적 태도 표명에도 8124자(본문 기준)에 이르는 장문의 <노동신문> 보도문에 ‘핵’이라는 단어가 단 한 차례도 등장하지 않은 사실은 곱씹어볼 지점이다.
이와 관련해 이번 회의에서 외무성 제1부상이던 최선희가 외무상에, 외무상이던 이선권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에 선임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최선희는 북한 역사상 최초의 여성 외무상이다. 70~80대 현직 고령자가 수두룩한 북한의 인사 관행에 비춰, 1964년생으로 50대인 최선희, 이선권(출생 연도 미상)의 발탁은 파격적인 세대교체라 부를만하다. 최선희와 이선권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시기에 각각 대미·대남 정책을 최선두에서 수행한 이력을 갖고 있어, 이들의 발탁에 어떤 정책적 함의가 있는지도 주의깊게 살펴볼 대목이다. <노동신문>은 “조직 문제”, 곧 노동당 고위직 인사가 이번 전원회의의 “첫째 의정(의제)”이었다고 전했다.
이선권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 총비서는 “농사와 소비품 생산”을 “올해 경제과업들 중 급선무”로 꼽았다. 아울러 “인민경제 수행”이 “당과 인민에 대한 충실성이고 헌신적 복무”라며 “모든 것을 총집중”하라고 강조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코로나19 확산과 2년5개월째에 접어든 장기 국경 폐쇄의 고통으로 흔들리는 민심을 다잡는 데 당과 정부의 행정력을 쏟아부으라는 지침이다. 김 총비서는 이 와중에도 “올해 계획된 중요 대상 건설 과제(대형 건설 계획)들을 무조건 다연발적으로 완수”하라고 다그쳤다.
김 총비서는 회의에서 현재 상황을 “유례 없는 국난” “미증유의 엄혹한 시련”이라 비유했으며, <노동신문>은 이번 전원회의를 “투쟁과 전진의 회의”라고 규정했다. 맞닥뜨린 상황이 버거운 수준이라는 자기 평가다. <노동신문>이 “승리의 신심과 굳센 의지를 간직하고 올해의 투쟁목표를 향하여 힘차게 앞으로!”라는 구호를 전면에 내세운 까닭으로 읽힌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