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3~4월 중대 발표설 촉각
“특구보다는 중국과 과도기적 협력 프로젝트” 관측도
“특구보다는 중국과 과도기적 협력 프로젝트” 관측도
지난달 1월10~18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 이후 북한의 후속 조처가 3~4월 중에 발표될 것이라는 관측이 일고 있다. 확인된 것은 없지만, 여러 움직임들이 대북 경협 관계자 등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김 위원장의 생일(2월16일)부터 김일성 전 주석의 생일(4월15일)까지 북한이 축제 분위기인 점, 북핵 문제가 다시 해결 국면에 들어서려면 북한이 상징적인 조처를 보여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도 중대발표설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현재 거론되는 후속 조처는 ‘신의주 특구 재추진설’과 ‘새 특구 지정설’ 두 가지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북쪽이 신의주, 남포, 평성, 원산, 송림 등을 검토해 왔으나 북이 여전히 가장 특구를 설치하고 싶어하는 곳은 신의주”라고 말했다. 신의주는 지금도 중국과의 거래가 가장 활발한 곳이다. 이 소식통은 “신의주에서 육로 또는 뱃길로 단동으로 간 뒤, 단동에서 다시 중국 칭다오나 톈진 등으로 나가는 게 북한 무역상들 사이에서도 일반적인 통로”라고 덧붙였다. 국내 북한 관련 인터넷 매체인 <데일리 엔케이>는 단동의 북한관련 사업가들 말을 통해 지금 신의주에는 “외화벌이 단체들이 속속 입주하고, 소개령을 받은 주민들이 떠나는 동시에 평양과 다른 지방에서 들어오는 신거주자들로 물갈이가 한창”이라고 전했다.
‘새 특구 지정설’도 만만치가 않다.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이 여러 지역에 대한 개방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1순위는 남포”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북한이 중국 투자자를 물색하고 있는 단계”라고 전했다.
대동강 하구의 남포항은 북한 최대의 국제 항구로, 지난해 말 새롭게 완공된 컨테이너부두를 비롯해 물류 인프라가 우수한 편이다. 북한은 또 2004년 1월 남포직할시를 중앙이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특급 시로 바꾸었다. 정부 관계자들도 “남포 지역의 특구 지정 가능성이 꽤 높은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평양과 지리적으로 너무 가까워 북한이 정치적으로 부담을 느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부에서는 ‘특구설’과는 다른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경협 관계자는 “북한이 곧바로 특구를 발표하기보다는 중국과 과도기적인 협력 단계를 거칠 것”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지는 못했지만 함경북도 접경 지역에서 새로운 조-중 접경 프로젝트를 실시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용인 기자, 이상수/베이징 특파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