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북한이 크게 달라졌다, 어떻게 해야 할까 [정욱식 칼럼]

등록 2022-07-25 09:02수정 2022-07-27 17:02

한미일과의 관계개선 미련 접은 듯
북한의 유엔 보고와 한국은행 추정치 큰 차이
대북정책 재검토의 출발점은 ‘지피지기’
4월25일 북한이 군 창건 기념 열병식에서 등장시킨 신형 ICBM 화성-17, 25일 아침 북한은 이 ICBM을 포함해 3발의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4월25일 북한이 군 창건 기념 열병식에서 등장시킨 신형 ICBM 화성-17, 25일 아침 북한은 이 ICBM을 포함해 3발의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대북정책을 원점에서부터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북한의 핵무장이 돌이킬 수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는 데에 있다 . 한반도 비핵화가 사실상 물 건너간 만큼 , 비핵화를 핵심적인 목표로 삼아온 대북정책도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도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다 . 일리 있는 주장이다 .

동시에 핵무장에 비해 잘 보이지 않는 , 그러나 매우 중요한 북한의 변화도 직시할 필요가 있다 . 세가지 측면에서 그렇다 . 첫째는 북한이 한·미·일과의 관계 개선 미련을 사실상 접은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 둘째는 북한 경제가 외부에서 생각하는 만큼 어렵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 셋째는 경제제재에 대한 북한의 판단이 달라졌다는 점이다 .

1990년대 초반 이래 한반도 문제의 핵심에는 북핵 문제와 한·미·일 사이의 상호작용에 있었다 . 북한의 핵개발은 한·미·일의 대북 강경책의 원인이면서도 북핵 해결을 위해서는 대화와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외교적 과제이기도 했다 . 북한 역시 때로는 벼랑 끝 전술로 , 때로는 대화와 협상으로 한·미·일 , 특히 미국과의 관계를 풀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었다 . 이랬던 북한이 2019년 말부터 대화의 문을 굳게 닫아걸고 있다 . 2018년부터 2019년 상반기까지 있었던 남북 ·북-미 정상회담이 허망한 결과만 낳았고 앞으로도 기대할 것이 없다는 판단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

북한의 경제난이 그렇게 심각하지 않을 가능성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빈곤한 북한 ’은 대북 지원과 경제협력 , 그리고 경제제재 완화를 통해 북한의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포용정책부터 , 대북 제재 유지 ·강화를 통해 북한의 변화를 압박하거나 붕괴를 도모해야 한다는 강경정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되어왔다 . 하지만 북한이 외부에서 생각하는 것처럼 빈곤하지 않지 않다면 ? 북한은 2021년 7월에 유엔에 ‘자발적 국가 검토 보고서 ’(VNR)를 제출했는데 , “2015∼2019년 5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5.1%”라고 보고했다 . 같은 기간 한국은행의 추정치보다 무려 9.5%나 높다 .

경제제재에 대한 북한의 셈법이 달라졌다는 점도 매우 중요하다 . ‘제재 해결 ’(Without Sanctions)의 추구에서 ‘제재와 더불어 ’(With Sanctions)로의 전환이 바로 그것이다 . ‘과거의 북한 ’은 미국 주도의 제재에 비명도 지르고 제재를 풀어달라고 호소도 했었다 . 하지만 북-미 정상회담의 허망한 결과를 경험하고는 제재를 “자력갱생 ”과 “자급자족 ”을 실현할 수 있는 “좋은 기회 ”로 삼겠다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

이들 세가지 변화는 북한의 핵무장 못지않게 대북정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요인들이다 . 한·미·일과의 관계 정상화는 비핵화의 핵심적인 상응조처였다 . 그런데 북한이 이러한 외교적 목표를 거의 접었다는 것은 대북정책의 핵심적인 지렛대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대북 지원이나 협력으로 , 혹은 대북 제재 유지 ·강화로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려고 했던 접근도 유효기간이 지났다 .

그럼 달라진 북한을 상대로 대북정책을 어떻게 재구성해야 할까 ? 지피지기가 매우 중요하다 . 사실 대북정책만큼이나 지피지기가 잘 안되는 분야도 없다 . 이제는 각자가 원하는 북한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북한 ’을 보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 동시에 진영 논리를 떠나 역대 한·미·일의 대북정책도 냉정하게 평가해야 한다 . 또 북한의 핵과 미사일만 볼 것이 아니라 , 한·미·일의 무기고에 쌓이고 있는 첨단무기들도 같이 볼 수 있는 지혜도 요구된다 . 가장 중요하게는 북한의 변화가 외부와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는 점을 직시하는 것이다 .

정욱식 한겨레평화연구소장 wooksik@gmail.com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홍준표 “당 장악력 없는데 보여주기 쇼”…윤 독대 요청 한동훈 비판 1.

홍준표 “당 장악력 없는데 보여주기 쇼”…윤 독대 요청 한동훈 비판

합참 “북한 쓰레기 풍선 넉 달간 5500개…선 넘으면 군사 조치” 2.

합참 “북한 쓰레기 풍선 넉 달간 5500개…선 넘으면 군사 조치”

관저 비리 ‘전 정부 탓’하던 김용현 결국…‘이상민에게 물어라’ 3.

관저 비리 ‘전 정부 탓’하던 김용현 결국…‘이상민에게 물어라’

친윤 장예찬 ‘용산행 무산’ 보도에…“대통령 격노, 조사 지시” 4.

친윤 장예찬 ‘용산행 무산’ 보도에…“대통령 격노, 조사 지시”

조국 “이재명 정치생명 박탈하겠다?…정치 억압” 5.

조국 “이재명 정치생명 박탈하겠다?…정치 억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