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더이상 윤석열과 그 군사깡패들이 부리는 추태와 객기를 가만히 앉아서 봐줄 수만은 없다”며 “지금과 같은 작태를 이어간다면 상응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28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김 총비서는 한국전쟁 정전협정 기념일인 27일 밤 평양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앞에서 진행된 ‘전승절 69돌 기념행사’ 연설에서 “우리는 윤석열이 집권 전과 집권 후 여러 계기들에 내뱉은 망언들과 추태들을 정확히 기억하고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는 지난 5월10일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김 총비서가 직접 밝힌 북한의 첫 공식·공개 반응이다.
김 총비서는 연설에서 “반제반미·대남대적 정신”을 강조하며 윤석열 정부에 대해 강경하고 적대적인 인식을 담았다. 북쪽이 남쪽 대통령을 비판할 때 흔히 써온 ‘남조선 당국자’와 같은 추상적 표현은커녕, 직함도 생략한 채 바로 “윤석열이”라며 맹비난했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기념일인 27일 밤 평양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앞에서 진행된 ‘전승절 69돌 기념행사’에서 한 연설에서“더이상 윤석열과 그 군사깡패들이 부리는 추태와 객기를 가만히 앉아서 봐줄 수만은 없다”며 “지금과 같은 작태를 이어간다면 상응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28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 총비서는 윤석열 정부의 강경 대북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올해에 집권한 남조선의 보수 ‘정권’은 역대 그 어느 보수 ‘정권’도 능가하는 극악무도한 동족대결정책과 사대매국행위에 매달려 조선반도의 정세를 전쟁 접경에로 끌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과 이종섭 국방장관 등 남쪽 고위 인사의 ‘힘에 의한 평화’ ‘선제타격’ ‘한국형3축체계’ 언급 등을 “허세”이자 “핵보유국의 턱밑에서 살아야 하는 숙명적인 불안감으로부터 출발한 것”이라며 “남조선은 군사적 열세를 절대로 만회할 수 없을 것”이라 주장했다. 김 총비서는 “남조선 ‘정권’과 군부깡패들이 군사적 수단·방법에 의거해 우리 군사력의 일부분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러한 위험한 시도는 즉시 응징될 것이며 윤석열 ‘정권’과 그의 군대는 전멸될 것”이라 말했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기념일인 27일 밤 평양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앞에서 진행된 ‘전승절 69돌 기념행사’에서 한 연설에서 “더이상 윤석열과 그 군사깡패들이 부리는 추태와 객기를 가만히 앉아서 봐줄 수만은 없다”며 “지금과 같은 작태를 이어간다면 상응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28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 총비서는 남북 대화나 협력 여지도 두지 않았다. 그는 “남조선의 보수 ‘정권’은 시작부터 도가 훨씬 넘었다는 것과 위험을 자초하는 짓을 숙고해야 한다는 것을 더 늦기 전에 자인해야 한다”며 “가장 위험한 도마 우(위)에 올라선 대통령, 가장 큰 위험 앞에 노출된 ‘정권’이라는 손가락질을 피하려면 때없이 우리를 걸고들지 말고 더 좋기는 아예 우리와 상대하지 않는 것이 상책일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남북관계 개선에 험로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김 총비서는 미국을 향해서도 강경한 태도를 거듭 확인했다. 그는 “미국이 조미관계를 더이상 되돌리기 힘든 한계점에로, 격돌상태로 몰아가고 있다”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국과의 그 어떤 군사적 충돌에도 대처할 철저한 준비가 돼 있다는 것을 다시금 확언한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이 우리의 안전과 근본이익을 계속해 엄중히 침해하려 든다면 반드시 더 큰 불안과 위기를 감수해야만 할 것”이라 말했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한국전쟁 정전협정 기념일인 27일 밤 평양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앞에서 진행된 ‘전승절 69돌 기념행사’에서 한 연설에서“더이상 윤석열과 그 군사깡패들이 부리는 추태와 객기를 가만히 앉아서 봐줄 수만은 없다”며 “지금과 같은 작태를 이어간다면 상응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28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다만 김 총비서는 연설 내내 남쪽과 미국이 먼저 북한을 자극하지 않는다면 북쪽이 먼저 ‘(군사)행동’에 나설 뜻이 없다는 점을 내비쳤다.
전문가들은 다음달로 예정된 여름철 한·미연합군사연습이 남북·북미 관계의 임박한 ‘시험대’가 되리라 예상했다. 한미는 그동안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식으로만 진행한 8월 연합훈련에 야외 기동훈련을 포함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복수의 전직 정부 고위 관계자는 “현재 남북·북미 관계에 안전장치가 없어 매우 위태롭고 위험한 상황이라 ‘말’이 ‘행동’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애써야 한다”며 “윤석열 정부가 감정을 누르고 한반도의 안정이라는 최소 목표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