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수 있는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을 본격화한다. 사진은 2020년 8월3일 충남 태안군 국방과학연구소(ADD) 안흥시험장에서 열린 국방과학 합동시연에 초소형 위성이 전시돼 있는 모습. 연합뉴스
정부가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수 있는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을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체계는 정부가 한반도와 주변해역을 감시하기 위해 1조4223억원을 들여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초소형위성은 기존 중·대형 위성대비 경제성이 뛰어나고 궤도진입이 용이하다. 또한 군집운용을 통해 재방문주기가 짧아 영상정보 획득에 이점이 있다.
초소형위성체계는 영상레이더(SAR) 위성, 전자광학(EO) 위성과 지상체로 구성·운영된다. 영상레이더 위성은 공중에서 지상과 해양으로 레이더를 순차적으로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시차를 처리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거나 지표를 관측한다. 전자광학 위성은 가시광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
정부는 위성으로 획득한 영상정보를 한반도와 주변해역의 위기상황을 감시하고 해양 안보·치안·재난 위협에 대비하는 데 사용할 방침이다. 올해 상반기 중 영상레이더 검증위성 업체를 선정하고, 2026년 하반기에 검증위성을 발사해 성능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8년부터는 다수의 위성을 순차적으로 발사해 사업을 완료할 계획이다.
신형철 기자
newir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