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지원등 대가로 생사확인 추진 예상
“위폐문제 우려 2월말 북에 다시 전달”
이종석 통일 취임 한달 간담회
“위폐문제 우려 2월말 북에 다시 전달”
이종석 통일 취임 한달 간담회
이종석 통일부 장관은 10일 납북자·국군포로 문제와 관련해 “기존의 생각들을 넘어서 창조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검토하고 있다”며 “국민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돼도 (국민들에게) 보고하면 받아들일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취임 한 달을 맞아 연 기자간담회에서 “독일에서 한 방식은 아니어도 우리 나름의 방식을 연구 중”이라며 이렇게 강조했다. 이는 북한에 대한 대규모 지원·개발사업 등을 ‘대가’로 납북자·국군포로의 생사 확인과 송환 추진 문제를 추진하는 등 개별적 해법 모색보다는 큰틀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독일 방식’이란 통독 이전 서독 정부가 동독의 정치범을 데려올 때마다 1인당 일정 금액을 지급한 방식을 말한다.
이 장관은 또 북쪽이 제3차 장성급회담에서 (서해)해상 경계선 문제를 협의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 “북쪽이 종전과 달리 남북 기본합의서를 근거로 협의를 제안했기 때문에 대응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방한계선(NLL)이 해상군사분계선이라는 정부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위폐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갖고 있으며 북쪽에 적절한 조처를 촉구하는 내용의 우리쪽 입장을 2월 말에 정부 창구를 통해 다시 전달했다”고 소개했다.
그는 개성 및 백두산관광과 관련해서는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어차피 현대아산 혼자서 하기는 벅차지만 현대아산이 주도적으로 원하는 기업들과 협력해서 이 문제를 진척시켰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정부 고위당국자가 개성 및 백두산관광의 사업권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