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공제회 사업맡아 외부유출 가능성 제기
장병 대상자에게 발급할 전자병역증(나라사랑카드)에 담긴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나라사랑카드는 입대 전 신체검사시 징병 대상자에게 처음 발급한 뒤 복무 중에는 병역증, 봉급 및 여비지급, 의료카드, 훈련카드, 전자화폐, 교통카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전역 후에는 예비군 훈련기록 및 여비지급 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다목적 카드이다.
오는 10월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이 카드 사업이 군사정보를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는 지적이 군 밖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더구나 카드에 저장되는 전.현직 군인의 인적사항과 병역사항이 국방부로부터 사업을 위탁받은 군인공제회의 자회사인 '군인공제회 C&C'의 서버로 전송되기 때문에 해킹의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국회 국방위 소속 임종인 의원도 이날 국방부와 병무청, 군인공제회 3자 사이의 '나라사랑카드 관리.운영 대행 약정서'를 공개하고 각종 신상정보가 군인공제회 C&C의 서버로 모이게 된다면서 정보유출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냈다.
하지만 국방부는 이 카드가 해킹이 불가능하므로 개인정보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국방부는 "병역증.전역증이 들어있는 개인수첩을 분실하면 개인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될 우려가 있으나 전자병역증은 칩 내부 정보의 해킹이 불가능하므로 개인정보 유출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나라사랑카드에 담긴 개인정보는 서버에 저장되며, 카드 IC칩에는 이를 열람할 수 있는 공인전자인증서를 탑재해 인터넷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도 차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금감원 정책에 따라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와 달리 복제가 불가능한 스마트 카드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 (서울=연합뉴스)
국방부 관계자는 "금감원 정책에 따라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와 달리 복제가 불가능한 스마트 카드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귀근 기자 threek@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