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미사일 징후 포착에서 발사까지
“단거리-남한, 중거리-일본, 장거리-미국에 신호” 분석도
북한이 미사일 7발을 ‘무더기’로 쏘아올렸다. 러시아 군 총참모장은 북한이 10발을 쐈다고 말하기도 했다. 모두 전례가 없는 일이다.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종류를 보면 대포동2와 스커드 및 노동급 미사일 등 단·중·장거리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종합선물세트’라고 부를 만하다. 정부 당국자는 이를 두고 “미사일 능력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려고 하는 ‘효과 극대화’가 목적”이라고 밝혔다.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차관보에 대한 초청이 거절당하고, 미사일 발사 움직임에 미국이 차가운 반응을 보이자 미국을 양자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고자 ‘초강수’를 뒀다는 분석이다. 군 일각에서는 단거리는 남한, 중거리는 일본, 장거리는 미국을 각각 겨냥한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심리전의 일환이라는 시각도 있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남북관계연구실장은 “주변국이 모두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만 쏠 것으로 예상했다”며 “상대방의 의표를 찌르는 행위를 통해 ‘당신들이 생각하는 이상으로 우리 식으로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 것”이라고 분석했다. 백 실장은 “의표를 찌르고 나면 긴장이 고조돼 심리전이 먹혀들어갈 수 있는 구석이 있다”고 덧붙였다.
정치적인 목적과는 별도로, 북한이 시험발사를 통해 미사일 성능을 개선·제고시킬 필요성이 있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북한은 1998년 9월 ‘대포동1’ 발사 이후 발사유예 조처 등으로 8년 동안 중·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 미사일 수출을 주요 수입원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북한이 ‘판매 목적’을 위해서도 성능이 향상된 미사일을 시험해 볼 필요성이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