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발사징후 입수->4일 노대통령에 보고->군, “6~7일 쏠듯”->5일 05:00 대포동 발사->5일 05:12 노대통령에 보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다는 것을 우리 정부가 파악한 것은 실제 발사가 이뤄진 5일보다 이틀 앞선 3일 저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6일 한 외교 소식통은 우리 정부 쪽에서 지난 3일 저녁 스커드나 노동 미사일이 발사된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 발사장에서 군사훈련이 진행되고 있음을 관찰했다고 밝혔다. 위성사진 판독을 통해 무수단리 미사일 발사장 주변의 연료탱크가 모두 치워진 점도 확인했다. 또 북한이 내부적으로 미사일이 낙하될 것으로 추정되는 동해에 특정 해역을 설정해 놓고 자국 선박들에게 ‘항해금지’를 지시한 정보도 입수했다고 한다.
이런 징후들은 4일 아침 청와대에 전달돼, 노무현 대통령에게도 보고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군 정보당국은 실제 발사가 이뤄질 시점을 5일보다는 하루 이틀 뒤로 추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포동2 미사일의 발사기지가 있는 함북 화대군 무수단리에 비가 계속 내리고 구름이 짙게 끼는 등 기상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중국이 6자 회담 재개를 제안한 사정 등을 감안해 볼 때, 실제 발사가 이뤄질 확률도 50 대 50 정도로 낮춰 잡았다는 게 이 소식통의 얘기다.
그러나 5일 새벽 3시32분 북한이 첫번째 미사일을 발사하고 나서 10분이 채 지나지 않은 새벽 3시41분 미국이 우리 군에 발사 사실을 통보하면서, 당국은 상황을 파악하기 시작했다. 새벽 5시 대포동2가 발사된 뒤 5시10분 이 사실이 청와대에 전달됐고, 노 대통령이 보고를 받은 시점은 새벽 5시12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서주석 청와대 통일정책안보수석은 이날 청와대 브리핑에 ‘국적 없는 보도, 국익 없는 보도’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사태 발생시 보고 및 회의 개최 등 그 대응 하나하나는 준비된 전략적 방침 위에 이뤄진 것”이라며 “실질적 대응책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언론의 ‘늑장 대응’ 비판을 반박했다.
서 수석은 “상황이 발생했다고 해서 대통령이 꼭두새벽에 회의를 소집해 이목을 집중시키고 심각한 대책을 내는 것이 현시점에서 과연 바람직한 일인가”고 반문한 뒤, “북한의 고도의 정치적 압박행위에 대해 마치 속도 경쟁이나 하듯 강경책을 내놓아 긴장을 증폭시키는 것이 타당한가”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 경제와 대외신인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질 수 있고 국내적으로는 국민의 불안감이 고조된다”며 차분한 대응이 전략적 방침임을 거듭 강조했다.
김의겸 기자 kyumm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