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 행사준비위원회 결성식에 참석한 문경식 전농의장(오른쪽에서 세번째)과 농민 대표들이 4일 오전 금강산호텔 로비에서 북쪽의 김명철 농업근로자동맹 부위원장(맨 오른쪽), 김순복 농업근로자동맹 조국통일위원장(왼쪽에서 두번째
가격제도 변화등 대처 원인
정부 “권력변동 가능성은 낮아”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9일 열기로 했던 최고인민회의 제11기 3차 회의를 연기했다. 최고인민회의 회의 날짜가 연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4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사회주의 건설의 모든 전선에 있는 대의원들의 제의에 따라 3월9일 소집하게 된 최고인민회의 제11기 3차 회의를 연기한다”며 “회의 날짜는 따로 결정해 공시한다”고 보도했다. 북한 최고인민회의는 남한의 국회에 해당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관으로, 지난해 예산을 결산하고 올해 예산을 심의·확정하며 주요 기관의 간부 선출 및 법규 확정, 각종 당면 의제 등을 다룬다 최고인민회의 연기는 이번이 처음인데다 북한 외무성의 6자 회담 무기한 불참 성명 발표 뒤 나온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일단 북한 내부 사정에 따른 것으로 분석하는 분위기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공식적으로 밝힌 연기 사유가 ‘사회주의 건설의 모든 전선에 있는 대의원들의 제의’란 점에 주목하면, 일단 예산 결정 등 기술적 문제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며 “2002년 7월 경제관리개선조처 이후 가격제도 변화와 물가 상승 등에 대처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북한 내부의 권력 변동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공식 일정을 차질없이 수행하고 있는 등 최근 북한 내부의 급변 정황을 찾아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북한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조처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북한 외무성 성명 발표 이후 불안정한 정세를 강조하며 주민들에게 긴장감을 조성해 체제을 결속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달부터 각 도와 직장·기관별로 군중대회를 잇달아 열어 주민들의 단결과 충성심을 다지고 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