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북 핵실험 방사성물질 환경오염 가능성 낮다”

등록 2006-10-09 19:20

방사능 지상분출되더라도 공기오염 가능성 미미
핵실험장 사후 관리 등 철저한 안전대책이 관건
[북한 핵실험 강행 파장]

전문가 “실험장소 지하수맥 없으면 큰 위험 없어”

“북한이 지하핵실험을 한다면 한반도 전체의 지하수체계는 물론이고 나아가 동해까지 방사능으로 오염시킬 것이다.”

미국의 군사전문지 〈글로벌 시큐리티〉는 9일 인터넷판에 실은 북한 핵실험에 관한 기사에서 일본 다쿠쇼쿠대 모리모토 사토시 교수의 이런 발언을 인용했다. 사토시는 미국 네바다나 인도·파키스탄처럼 통상 지하핵실험에 50~60㎢의 사막이 필요한 까닭은 지하수 오염을 피하기 위해서라며, 사막도 없고 지하수가 풍부한 북한이 핵실험을 한다면 파키스탄 등 다른 나라의 시험장을 빌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북한 핵실험의 규모, 방법, 폭발 깊이, 지질학적 조건 등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환경에 끼칠 영향을 추정하는 것은 사토시의 예측처럼 빗나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방사선과 지하수 전문가들은 일단 이번 핵실험이 당장 큰 환경오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물론 방사능의 지하수 이동을 예측하는 어려움과 북한의 안전대책에 불확실성이 많아 장기적으로 어떤 환경피해를 부를지는 미지수다.

우선 지하핵실험으로 발생한 방사성물질이 공기를 오염시킬 확률은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명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선환경평가실장은 지하에 가둬둔 핵물질이 지상으로 뿜어져나오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더라도 서울 시민의 피폭량은 방사선허용선량 한도(연간 1mSv)의 10분의 1도 안 된다고 계산했다.

원자력안전기술원은 현재 전국 12개 방사능 측정소에서 공기속 지르코늄, 세슘, 란타늄 등 방사성 물질을 24시간 채취해 분석하고 있지만, 북한 핵실험의 영향은 지금의 풍향과 풍속을 고려할 때 이틀 뒤에나 관측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문제는 공기보다는 지하수 오염이다. 실험장소를 지하수맥이 없는 곳으로 신중하게 선택한다면 오염 가능성은 크게 떨어진다. 핵폭발의 고열로 암반이 녹으면서 방사성물질을 차폐해 지하수와 접촉을 차단하는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이 실장은 “만약 이번 실험이 이런 부분이 제대로 안 했다면 인근 지하수가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고, 그 지하수가 동해 바다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핵실험으로 인한 지하수 오염 가능성은 두 가지다. 첫째는 핵폭발로 생긴 지하의 균열을 따라 지하수가 침투해 들어와 방사성물질이 환경으로 이동해 나갈 가능성이다. 성익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핵폭발로 생긴 지하 균열이 작게는 100m, 길게 1㎞까지 날 수 있다고 보면, 그 균열을 따라 지하수가 이동해 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성 박사는 오염물질의 이동속도가 너무 늦어 환경오염의 위험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지하수의 이동속도는 연간 1m로 1㎞를 가는 데 1천년이 걸린다. 그 사이 방사성 물질들은 암석에 흡착되고, 방사능도 약해진다는 것이다.

둘째는 핵실험장 표면으로부터 빗물 등이 지하로 침투해 핵물질과 만나 지하수오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다. 이것은 핵실험장의 사후관리를 북한당국이 얼마나 철저히 하느냐에 달려 있다.

한편, 과학적 예측에 불확실성이 많아 장기적으로 지하수의 방사능 오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1956~1992년 사이 828차례의 지하핵실험이 벌어진 미국 네바다의 핵실험장은 4027㎢ 넓이의 사막에 위치해 있지만, 2000년 방사능이 지하수를 따라 핵실험장 밖 주거지역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사회문제가 됐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김정수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달 그림자” 윤 궤변에…국힘서도 “손바닥에 ‘왕’ 써도 하늘 못 가려” 1.

“달 그림자” 윤 궤변에…국힘서도 “손바닥에 ‘왕’ 써도 하늘 못 가려”

특전사, 내란 9개월 전 ‘국회 헬기 착륙 장소’ 점검했다 2.

특전사, 내란 9개월 전 ‘국회 헬기 착륙 장소’ 점검했다

윤석열 국정이 ‘달 그림자’였다…작년 ‘사과’ 직후 ‘계엄 모임’ 3.

윤석열 국정이 ‘달 그림자’였다…작년 ‘사과’ 직후 ‘계엄 모임’

‘윤체이탈’ 윤석열…“살인 미수로 끝나면 아무 일 없었던 게 되냐” 4.

‘윤체이탈’ 윤석열…“살인 미수로 끝나면 아무 일 없었던 게 되냐”

김부겸, 이재명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에 “법원·국민 믿고 가야” 5.

김부겸, 이재명 위헌법률심판 제청 신청에 “법원·국민 믿고 가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