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1일 북한을 방문하는 노회찬 민주노동당 의원이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한반도 비핵화가 깨진 점에 분명한 유감의 뜻을 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민주노동당 방북 대표단과 함께 평양행
핵 철거·6자 회담 재개도 촉구 당내 의견차이 심각하진 않아
핵 철거·6자 회담 재개도 촉구 당내 의견차이 심각하진 않아
북 핵실험으로 한반도 정세가 얼어붙은 가운데, 민주노동단 대표단이 31일 북한을 방문한다. 민노당은 최근 북 핵실험에 대한 입장 표명을 놓고 내부 갈등을 겪었다. 대표단의 일원인 노회찬 의원은 26일 “북한에 가서 한반도 비핵화가 깨진 것은 대단히 유감이란 말을 분명히 전하겠다”며 “북한에 6자 회담 복귀를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노 의원과 문성현 대표, 권영길 의원 등 민주노동당 지도부 15명은 4박5일 일정으로 평양을 방문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김계관 외무성 부상, 권호웅 내각 참사(남북장관급 회담 북쪽 단장), 안경호 6·15 공동위 북쪽 위원장, 여원구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 등 북한쪽 인사들을 두루 만날 예정이다.
-북 핵실험 이후에 방북을 하는 데 부담감은 없나?
=원래 조선사회민주당 초청행사로 예정돼 있던 것이다.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다. 북 핵실험이 터져 우리가 ‘책임있는 당국자’를 만날 것을 요청했다.
-만나서 어떤 얘기를 할 건가?
=한반도 비핵화가 깨진 점이 대단히 유감이라는 말을 분명히 전하겠다. 그리고 평화적 방법으로 핵무기가 철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하겠다. 핵이 누구를 겨냥하든 존재 자체가 위험한 일이다. 6자 회담이 중요하다. 6자 회담은 미국이 북-미 양자 회담을 거부해 만들어진 것이다. 미국과 대화가 안된다고 해서 핵무기를 갖겠다는 건 동의할 수 없다.
-보수 진영에선 민주노동당의 방북에 정치적 공세를 펼 수도 있지 않을까?
=정치적 계산으로 방북하는 게 아니다. 국민들의 안전과 한반도 미래를 위해 가는 것이다. 북한과 더이상 대화가 필요없다는 한나라당 생각은 국민 여론을 반영한 게 아니며, 해결책도 아니다. 서슬 퍼런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정권 때도 (북과) 대화했다. 대화 않겠다고 한 정권은 이승만 정권 밖에 없었다. 한나라당은 집권자격이 없다.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사업의 중단은 감정적 대응 밖에 안 된다. 그런다고 북핵이 없어지나? 우리는 전쟁나면 피해를 보는 ‘특수 당사자’로, 미국·일본과 처지가 다르다. 교류가 있어야 극한 충돌을 막을 수 있다. -민주노동당 내부엔 자위 차원에서 북한 핵보유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북핵 문제에서 이견이 큰 것 같다. =그건 당 주요 간부(이용대 정책위의장)의 실언이다. 본인이 최고위원회의에서 사과했다. 북 핵실험에 대한 입장 표현을 ‘유감’으로 할지, ‘반대’라고 할지를 놓고 당내 논의가 있었지만, 심각한 차이는 아니다. -북 핵실험으로 포용정책을 지지해온 진보 진영의 입지가 좁아지고, 계속 포용정책을 유지해야 하느냐는 의구심도 있다. =(북한에 대한) 국민들의 배신·실망감이 있다. 그러면서 포용정책을 지지해온 진보 진영도 배신과 실망의 대상으로 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은 포용정책 탓이 아니다. 이번 사태는 진보진영으로선 위기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기회다. 평화가 위협받는 상황일수록 ‘평화만이 살 길’이라는 메시지를 확산시켜야 한다. 권태호 성연철 기자 ho@hani.co.kr
=정치적 계산으로 방북하는 게 아니다. 국민들의 안전과 한반도 미래를 위해 가는 것이다. 북한과 더이상 대화가 필요없다는 한나라당 생각은 국민 여론을 반영한 게 아니며, 해결책도 아니다. 서슬 퍼런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정권 때도 (북과) 대화했다. 대화 않겠다고 한 정권은 이승만 정권 밖에 없었다. 한나라당은 집권자격이 없다.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사업의 중단은 감정적 대응 밖에 안 된다. 그런다고 북핵이 없어지나? 우리는 전쟁나면 피해를 보는 ‘특수 당사자’로, 미국·일본과 처지가 다르다. 교류가 있어야 극한 충돌을 막을 수 있다. -민주노동당 내부엔 자위 차원에서 북한 핵보유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북핵 문제에서 이견이 큰 것 같다. =그건 당 주요 간부(이용대 정책위의장)의 실언이다. 본인이 최고위원회의에서 사과했다. 북 핵실험에 대한 입장 표현을 ‘유감’으로 할지, ‘반대’라고 할지를 놓고 당내 논의가 있었지만, 심각한 차이는 아니다. -북 핵실험으로 포용정책을 지지해온 진보 진영의 입지가 좁아지고, 계속 포용정책을 유지해야 하느냐는 의구심도 있다. =(북한에 대한) 국민들의 배신·실망감이 있다. 그러면서 포용정책을 지지해온 진보 진영도 배신과 실망의 대상으로 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북한 핵실험은 포용정책 탓이 아니다. 이번 사태는 진보진영으로선 위기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기회다. 평화가 위협받는 상황일수록 ‘평화만이 살 길’이라는 메시지를 확산시켜야 한다. 권태호 성연철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