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 인권결의안 찬성 왜
찬반 논란끝 ‘명분’ 선택
남북관계 영향 배제 못해
찬반 논란끝 ‘명분’ 선택
남북관계 영향 배제 못해
정부 고위당국자는 16일 유엔총회의 북한 인권결의안 표결에 찬성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과 관련해 “고심에 고심, 고뇌에 찬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정부는 북한 인권결의안에 대한 입장을 놓고 부처 간에 치열한 토론을 벌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국정원 등에서는 기존 방침대로 ‘기권’을, 청와대와 외교통상부에서는 ‘찬성’을 주장해 양쪽의 주장이 팽팽히 맞섰다. 하지만 이번주 초반부터 찬성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정부는 그동안 “남북관계라는 특수한 측면과 연계돼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거나 “식량 등 인도적 지원을 통해 한국 정부가 북한의 인권 개선에 가장 크게 공헌했다”며 대북 인권결의안에 불참이나 기권을 표시했다. 우리 정부가 이번에 ‘찬성’으로 돌아선 것은 분명한 정책 전환인 셈이다.
정부는 방침 변경에 대해 “정책 환경이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이 핵실험까지 한 마당에 북한의 인권상황에까지 침묵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실제 국제사회의 대북 여론이 악화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일부 민간단체들을 중심으로 대북 결의안에 찬성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다.
청와대 관계자도 “북한이 핵실험을 했는데, 아무 일도 없던 것처럼 넘어갈 수 없다. 실질적인 긴장을 조성하는 문제라면 신중하겠지만, 명분의 문제가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동안의 기권·불참이 남북관계의 현실을 고려한 것이라면 이번엔 명분을 택했다는 뜻이다. 여기에다 차라리 남북관계가 어려울 때 ‘골치 아픈’ 문제를 털어버리자는 전략적 계산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북 인권결의안 표결에 계속 불참·기권할 경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 상승과 맞물려 부담이 커진다는 점도 정부의 결정에 영향을 끼쳤다. 반기문 전 외교부 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선출과 우리 정부의 초대 유엔인권이사국 선출 등으로 북한 인권결의안을 계속 외면하기는 힘들다는 것이다.
남은 핵심 쟁점은 이번에 찬성했기 때문에 다음번에도 정부가 대북 인권결의안에 찬성해야 하는지 여부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명분이나 상황논리에 따른다면 그때그때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정부로서는 이번에 한번 찬성했으므로 앞으로도 계속 찬성해야 한다는 부담을 지고 갈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는 정부의 이번 결정이 실질적인 북한 인권 개선을 가져오기보다는 북한을 자극해 남북관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당장 우원식·유기홍·유승희·이인영 등 열린우리당 의원 18명은 정부의 찬성 방침이 나온 뒤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의 유엔 북한 인권결의안 찬성 방침에 우려를 표한다”며 “분단 상황을 관리해야 하는 특수상황인 점을 감안해 결의안에 참여하지 않아온 정부의 기존 자세는 유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북한은 지난해 11월17일 유엔총회에서 대북 인권결의안이 채택되자 나흘 뒤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내어 “(미국이) 체제 붕괴를 꾀하는 전략”이라며 민감하게 반응했다. 물론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쪽이) 일시 불쾌감의 표시 등 일정 수준의 반응은 하겠지만, 우리 정부 내 고민의 흔적을 알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 주민의 식량권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한 것도 이런 파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그러나 서보혁 코리아연구원 연구위원은 “남북 관계가 악화된 때일수록 정부가 좀더 전략적으로 신중해야 했다”며 “자칫 우리 정부가 찬성 투표를 던진 취지와 반대되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용인 박민희 이지은 기자 yyi@hani.co.kr
그러나 정부로서는 이번에 한번 찬성했으므로 앞으로도 계속 찬성해야 한다는 부담을 지고 갈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는 정부의 이번 결정이 실질적인 북한 인권 개선을 가져오기보다는 북한을 자극해 남북관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당장 우원식·유기홍·유승희·이인영 등 열린우리당 의원 18명은 정부의 찬성 방침이 나온 뒤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의 유엔 북한 인권결의안 찬성 방침에 우려를 표한다”며 “분단 상황을 관리해야 하는 특수상황인 점을 감안해 결의안에 참여하지 않아온 정부의 기존 자세는 유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북한은 지난해 11월17일 유엔총회에서 대북 인권결의안이 채택되자 나흘 뒤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내어 “(미국이) 체제 붕괴를 꾀하는 전략”이라며 민감하게 반응했다. 물론 정부 고위 당국자는 “(북쪽이) 일시 불쾌감의 표시 등 일정 수준의 반응은 하겠지만, 우리 정부 내 고민의 흔적을 알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 주민의 식량권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언급한 것도 이런 파장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그러나 서보혁 코리아연구원 연구위원은 “남북 관계가 악화된 때일수록 정부가 좀더 전략적으로 신중해야 했다”며 “자칫 우리 정부가 찬성 투표를 던진 취지와 반대되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용인 박민희 이지은 기자 yyi@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