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둔 연장키로
정부는 이라크 에르빌에 주둔하고 있는 자이툰 부대의 파병 연장 여부와 관련해, 현재의 2330명에서 1500명 수준으로 줄여 계속 주둔시키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아펙)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은 18일 아침 열릴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지 부시 대통령이 자이툰 부대 문제에 관심을 보이면, 이런 방침을 전하며 협의에 임할 계획이라고 정부 핵심 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철군, 단계적 철군, 병력 감축 등 세 가지 방안을 고민했지만, 현실적으로 현 단계에서 철군은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최근 자이툰 부대의 파병 연장 여부와 관련해 △감축 연장안 △단계적 철군안 △완전 철군안을 폭넓게 검토해 왔으며,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협의한 뒤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지금 북핵 문제 해결이 중요한 만큼 동맹국이 어려울 때 도와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어렵게 6자 회담 재개에 합의한 북핵 문제의 원만한 해결 방안 모색에 한-미간 협조가 필수적인 만큼, 중간선거 패배로 어려운 처지에 놓인 부시 행정부를 돕는 자세를 보이는 게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정치권 및 시민사회단체의 철군 여론이 거센 상황에서, 정부가 ‘감축 연장’을 결정함으로써 국회의 파병 연장 동의 문제를 놓고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국내의 거센 철군 여론을 의식한 듯, “병력을 줄여 연장 주둔하는 게 사실상 단계적 철수로 가는 방향이라는 점을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아랍어로 ‘올리브’를 뜻하는 자이툰 부대의 파견 병력은 애초 3500명이었으나, 4월부터 줄어 현재 2330명이다. 하노이/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