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조건 수용 전제…“다른 유엔기구 영향 없을 것”
유엔개발계획(UNDP)은 최근 대북사업 중단 결정이 북한 안 다른 유엔 기구들의 활동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비드 모리슨 유엔개발계획 대변인은 5일(현지시각) 기자회견에서 “이번 사업 중단이 현재 북한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세계식량계획(WFP)이나 유엔아동기금(UNICEF)의 활동과는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전했다.
유엔개발계획이 현지의 유엔 기구들을 총괄하도록 된 상황에서 북한 안 총괄 기능은 “다른 기구로 이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리슨 대변인은 “유엔개발계획 집행이사회가 1월25일 정한 조건을 북한이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1일부터 대북사업을 전면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며, 북한이 요구 조건들을 수용하면 대북사업 중단을 재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대북사업 중단과 관련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지난주 북한 고위 대표단이 유엔 본부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모리슨 대변인이 언급한 북한 고위인사는 북-미 관계정상화 실무그룹 회의 참석차 뉴욕을 방문 중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 일행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유엔 주재 미국대표부는 1월 유엔개발계획의 대북한 현금 지원 등이 규정 위반이라는 의혹을 제기했으며, 유엔개발계획 이사회는 2007~09년 대북 사업 승인을 보류한 채 북한에 대한 모든 현금 지급을 중지하고, 북한 정부를 통한 현지 직원 채용을 중단하도록 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