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북 마친 엘바라데이 밝혀
미 BDA 돈세탁 은행 지정
미 BDA 돈세탁 은행 지정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14일 북한 방문을 마치고 베이징에 도착해 “북한은 국제원자력기구 회원국 복귀에 긍정적 자세이며, 금융제재 해제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은 이틀 동안의 평양 방문을 마치고 이날 오후 6시께 베이징 난지핑 공항에 도착한 뒤 숙소인 캠핀스키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렇게 말했다.
엘바라데이 사무총장은 북한의 사찰단 입국 허용 여부에 대해 “다른 당사국들의 약속(2·13 합의) 이행에 좌우될 것”이라며 “북한은 2·13 베이징 합의를 전면적으로 이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재무부는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BDA)를 ‘돈세탁 금융기관’으로 지정하고 미국 은행들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결정을 이르면 14일(현지시각) 발표할 것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13일 보도했다. 재무부 조사가 계속된 지난 18개월 동안 이 은행에 묶였던 북한 자금의 해제도 막바지에 이르고 있다.
재무부의 이번 조처로 마카오 금융당국은 방코델타아시아의 북한 동결계좌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고 미국 정부 관리가 밝혔다. 이 관리는 <로이터>에 “비디에이에 대한 판정을 이번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동결자금의 일부가 해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지만, 얼마를 해제할지 등의 권한은 전적으로 마카오와 중국 금융당국에 있다. 이들이 매각과 인수합병의 걸림돌이 될 북한 계좌 전체를 풀어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비디에이에 동결된 북한 자금 가운데 적어도 800만달러는 해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요미우리신문>은 북-미 관계 소식통의 말을 따, 북한이 미국의 금융제재로 동결된 비디에이 계좌의 2400만달러 가운데 절반 이상을 해제해줄 것을 요구했다고 14일 보도했다. 해제 대상이 전체 금액의 절반을 밑돌게 되면 2·13 합의 이행에 지장이 생길 수도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10일 베이징에서 “미국이 (동결계좌를) 다 풀겠다고 약속을 했다. 다 풀지 못한다면 우리는 상응하는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몰리 밀러와이즈 재무부 대변인은 북한 동결계좌 해제 문제는 “언급할 게 없다”며 마카오 당국에 물어볼 문제라고 밝혔다.
미국 재무부 조사에 협조해 온 방코델타아시아는 ‘돈세탁 금융기관’ 지정으로 5천여 미국 금융기관과 직·간접 거래가 금지되고 외국기업과의 달러화 거래가 전면 차단된다. 2005년 9월 예비판정 발표 이후 방코델타아시아를 관리해 온 마카오 당국은 이 문제가 마카오 전체 금융권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으려 마카오 4위 규모인 방코델타아시아의 매각 또는 인수합병 조처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워싱턴/유강문 류재훈 특파원, 박민희 기자 hoonie@hani.co.kr
베이징 워싱턴/유강문 류재훈 특파원, 박민희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