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변 핵 폐쇄 거듭 촉구
미국 국무부는 ‘2·13 합의 초기조처 60일 시한’인 14일(현지시각)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폐쇄 등을 다시 촉구하며, 이를 위해 며칠 더 시간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한의 60일에 대한 평가’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여러 기술적인 문제로 지연됐던 ‘방코델타아시아’(BDA)에 동결된 북한 자금이 지난 10일 해제돼 이 문제는 완전 해결됐다”며, 국제원자력기구(IAEA) 요원의 복귀와 영변 핵시설 폐쇄를 거듭 촉구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미국 국무부 관리는 전화 기자회견에서 “비디에이 문제를 처리하면서 애초 예상하지 못한 복잡한 문제들이 발생했던 점을 고려해 며칠 더 시간을 주는 게 신중한 조처일 것”이라면서도 “새로운 시한을 협상하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고 덧붙였다.
정부도 15일 오후 청와대에서 북핵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북한(외무성)의 13일 발표에 유의하며, 2·13 합의를 지체없이 이행하는 것이 긴요하다는 데 의견 일치를 봤다”고 외교통상부 고위 관계자가 전했다. 이 회의에서는 18일 평양에서 열릴 예정인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다룰 대북 쌀차관 제공 문제에 대해서도 협의한 뒤, 사태 추이를 좀더 지켜보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아직은 북한이 비디에이 쪽과 접촉했다거나 국제원자력기구 관계자의 방북을 요청했다는 소식은 없다”고 말했다.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15일 베이징에서 주중 북한대사관을 통해 “2·13 합의 의무사항을 이행할 때라는 점을 촉구하고 국제원자력기구 요원의 북한 복귀를 허용하라는 것도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북한에 대해 일방적인 행동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며 나머지 5개국들도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며 “우리는 앞으로 며칠을 더 기다려야 한다는 점에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을 만나지 못한 채 이날 오후 워싱턴행 비행기에 올랐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박민희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