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 회담 미국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북한이 비핵화를 이행하고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복귀해야만 경수로 제공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힐 차관보는 23일(현지시각) 6자 회담 결과에 대한 국무부 특별브리핑에서 “2005년 9·19 공동성명의 언급대로 (논의 시작의) ‘적절한 시점’은 북한이 기존의 불순한 핵사업에서 벗어나고, 핵확산금지조약에 복귀했을 때라는 점을 북쪽에 설명해왔다”며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는 앞서 6자 회담 북한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이 21일 베이징과 평양에서 “궁극적으로 영변 핵시설을 해체하자면 경수로가 (북한에) 들어와야 한다” “경수로 문제는 9·19 공동성명에 따라 핵시설 해체국면에 진전이 이뤄지는 시점에 논의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밝힌 것에 대한 반응이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경수로 문제는 핵폐기 단계에서 얘기될 사안으로 현 시점에서 쟁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8월 중 진행될 실무그룹 회의에서 구체적인 불능화와 농축우라늄프로그램(UEP)을 포함한 모든 핵프로그램에 대한 신고 계획이 마련되고 9월 초 6자 회담 등의 일정이 차질없이 진행되면 연내에 영변 핵시설의 불능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 경우 내년 말까지는 핵무기와 이미 생산된 플루토늄 문제까지 포함한 모든 북한 핵문제 해결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불능화는 상호 행동계획이 마련될 때까지 시작되지 않을 것”이라며 “2단계 (불능화) 과정을 올해 안에 마치지 못한다면 현실적으로 우리의 목표 시점인 2008년까지 비핵화를 완료하기 힘들 것”고 덧붙였다.
그는 또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및 적성국교역법 적용 해제 시기에 대한 질문에 “북한 쪽과 논의를 시작하기로 합의한 만큼, 앞으로 열릴 미-북 관계정상화 실무그룹 회의에서 현 단계에서 그런 문제들에 대해 얼마나 더 나아갈 수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라며, 구체적 시점에 대한 답은 피했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이제훈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