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열릴 예정이던 8·15 민족공동행사가 북쪽의 ‘불참’ 통보로 무산됐다.
6·15 공동선언실천 북쪽 위원회는 4일 남쪽과 해외 위원회에 팩스를 보내 “북쪽 대표단은 부득이 8·15 통일행사에 나갈 수 없게 됐다”며 “지역별로 8·15 통일행사를 개최하는 것으로 하자”고 밝혔다. 8·15 공동행사가 남과 북, 해외의 합의가 있고서도 무산된 것은 각각 고 김일성 주석 10주기 조문불허와 북쪽의 수재가 문제된 2004년과 지난해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다.
북쪽은 팩스에서 “7월26일 개성에서 진행된 북·남·해외대표 실무협의에서 우리(북)는 6·15 남쪽위원회가 우려되는 몇가지 문제들에 대해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고 그 정형(결과)을 통보해 줄 것을 제안했다”며 “그러나 남쪽위원회는 우리가 요구한 모든 문제들에 대한 최종확인 담보를 통보해 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쪽은 실무협의에서 △한나라당 소속 의원의 ‘주석단’(귀빈석) 배제 △보수세력의 반북행동 방지문제 등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쪽은 또 “8·15 통일행사가 진행될 남쪽 지역에서 미국과 남쪽이 우리를 반대하는 을지포커스렌즈 합동군사연습을 강행하려는 데 대해 간과할 수 없다”며, 오는 20~31일 열리는 을지포커스렌즈 훈련도 불참 이유로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북쪽이 장관급 회담을 9월에 개최하자고 제의해온 점 등을 보면 남북관계 전반의 냉각을 의도한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며 “평양 6·15 공동행사의 파행에 대한 내부 정리가 아직 안 된 측면이 크게 작용한 것 아닌가 추측된다”고 말했다. 6·15 공동선언실천 남쪽위의 한 인사는 “7일께 운영위원회를 열어 이후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