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의외 호응’ 배경
“북핵 결단 가능성” “대선 전 ‘남북관계 확실히’ 의도”
2차 정상회담 논의는 언제나 남북 사이에 미묘한 긴장을 불러오곤 했다. 몇 차례에 걸친 남쪽의 의사 타진 때마다 북쪽은 ‘시기를 보자’며 발을 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회담 개최 발표가 전격적인 느낌을 주는 것은 북쪽의 호응이 그만큼 의외성을 띠기 때문이다.
북쪽의 호응은 무엇보다 지금이 정상회담을 열 수 있고, 또 열어야 하는 시기라는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봉조 통일연구원장은 “일정한 진전 단계에 들어선 북-미 관계와 함께 남북 관계도 동시에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실리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북-미 관계 개선을 통한 국제적 지원엔 시간이 걸리는 반면, 남북 관계가 진전되면 단기간에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남북 관계 개선을 통해 북-미 관계의 진전을 가속화하겠다는 뜻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연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연구교수는 “북으로선 북-미 관계가 풀릴 때 정상회담을 해야 성과를 볼 수 있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며 “미국과 관계 정상화 논의를 앞당기는 데 남쪽의 역할도 기대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중 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한 인사는 “핵 문제에서 주저한다면 지금까지처럼 정상회담에 응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북핵 문제에서 북쪽이 전략적 결단을 내렸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진단했다.
물론 남쪽 대통령 선거와 연관 짓는 견해도 있다. 참여정부에서 고위직을 지낸 한 인사는 “그보다는 대선 전에 남북 관계 진전 기조를 확실히 굳혀, 대선 결과에 상관없이 끌고가겠다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