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아침 서울 중구 황학동 중고텔레비전 판매상가에서 한 시민이 뉴스특보로 방영된 백종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의 남북 정상회담 개최 발표를 듣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일부 “대선 앞두고 회담…정치적 이용 우려”
누리꾼들 찬성 우세…포털에 댓글 수천개 달려
누리꾼들 찬성 우세…포털에 댓글 수천개 달려
“우리는 만나야 한다.”
평양에서 두번째 남북 정상회담이 열린다는 소식이 8일 발표되자, 시민단체들은 남북 관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환영했다. 또 북핵 문제 해결을 비롯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남북 교류협력 강화 등을 주요 의제로 요구했다.
■ 시민단체 환영과 주문=참여연대는 “한반도가 전환기에 서 있는 만큼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이 한반도 평화체제의 당사자이자 형성자로서 제구실을 다해 줄 것을 기대한다”며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남북의 소모적인 군사적 대결을 종식시키는 것도 이번 정상회담의 시급한 과제”라고 밝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역시 “제2차 남북 정상회담은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실질적 계기가 돼야 한다”며 “남북 신뢰 구축의 토대가 될 군비 감축에 대한 논의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도 성명을 내 “북한의 핵과 미사일 폐기에 상응한 미군 철수, 북-미와 남북 사이의 군축은 한반도 평화협정의 핵심 내용으로, 반드시 이뤄져야 할 민족 이익에 관한 문제”라고 밝혔다.
납북자와 이산가족 등 인도주의적 문제의 실질적 진전을 바라는 요구도 잇따랐다. 납북자가족모임의 최성용 대표는 “지난 1차 정상회담 때 김대중 전 대통령이 비전향 장기수를 북으로 보낸 뒤 납북자 수까지 거론해 가면서 국군포로 문제 등을 풀겠다고 했지만 유야무야됐다”며 “이번에는 납북된 가족들의 생사만이라도 확인해주는 등 실질적 성과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새사회연대의 이창수 대표도 “납북 추정자들의 자유의사에 따른 귀국과 이산가족 재회 등 인도주의적 문제가 진전되길 바라며, 아울러 국가보안법 폐지와 외국군 철수 문제 등 평화를 가속화할 수 있는 두 정상의 진지한 노력을 바란다”고 밝혔다.
■ 일부에선 우려도=일부에서는 대선을 몇 달 앞둔 시점에 노무현 대통령과 여권이 남북 정상회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신지호 자유주의연대 대표는 “구체적 성과 없이 섣부른 평화체제 논의와 장밋빛 남북 협력 프로젝트 발표 등과 같은 이벤트성 회담이 된다면, 연말 대선에서 정권 교체를 강력히 반대해 온 남북 정상의 야합으로 비쳐 엄청난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의 박정은 팀장은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태 등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공론화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었을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므로 개최 자체에 의미를 두고, 의제 선정과 형식 등에 논의를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누리꾼 반응=남북 정상회담 발표 기사가 실린 포털에는 이날 오후 수천개의 댓글이 달렸다. “남북 화해 분위기를 조성할 정상회담을 찬성한다”는 찬성론이 우세한 가운데 “대선 국면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정부의 술수”라는 의견도 제법 눈에 띄었다. 누리꾼 ‘조정현’은 “정치적 의도가 있건 없건 남북은 평화를 지향하는 만남은 지속해야 하고 때와 장소를 가려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반면 누리꾼 ‘칠봉달’은 “업적 남기기인가? 선거용인가? 하여튼 둘 중 하나일 것”이라며 “임기 말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과연 무엇을 해줄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여하튼 제발 쇼만 아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신지호 자유주의연대 대표는 “구체적 성과 없이 섣부른 평화체제 논의와 장밋빛 남북 협력 프로젝트 발표 등과 같은 이벤트성 회담이 된다면, 연말 대선에서 정권 교체를 강력히 반대해 온 남북 정상의 야합으로 비쳐 엄청난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의 박정은 팀장은 “아프가니스탄 피랍 사태 등 상황이 상황이니만큼 공론화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었을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체제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므로 개최 자체에 의미를 두고, 의제 선정과 형식 등에 논의를 집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누리꾼 반응=남북 정상회담 발표 기사가 실린 포털에는 이날 오후 수천개의 댓글이 달렸다. “남북 화해 분위기를 조성할 정상회담을 찬성한다”는 찬성론이 우세한 가운데 “대선 국면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정부의 술수”라는 의견도 제법 눈에 띄었다. 누리꾼 ‘조정현’은 “정치적 의도가 있건 없건 남북은 평화를 지향하는 만남은 지속해야 하고 때와 장소를 가려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반면 누리꾼 ‘칠봉달’은 “업적 남기기인가? 선거용인가? 하여튼 둘 중 하나일 것”이라며 “임기 말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과연 무엇을 해줄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여하튼 제발 쇼만 아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