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8일 열리는 제2차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14일 개성 자남산여관에서 열린 준비접촉에서 남쪽 대표인 이관세 통일부 차관(왼쪽 두번째)과 북쪽 대표인 최승철 통일전선부 부부장(오른쪽 두번째) 등 양쪽 대표단이 반갑게 악수하고 있다. 개성/사진공동취재단
남북정상회담 준비접촉 합의 주요내용
노대통령 전용차로 개성~평양고속도 왕래
의제 ‘평화·번영·통일 새국면’ 3개 큰틀 마련 14일 개성에서 열린 제2차 남북 정상회담 차관급 준비접촉에서 남북은 △왕래 절차 △대표단 규모 △회담 의제 등 정상회담 준비에 필요한 큰 골격에 대해 전격적으로 합의했다. 특히 남북은 경의선 도로를 이용한 남쪽 대표단의 방북에 합의하고, 대표단 규모도 1차 정상회담 때보다 20명 늘리는 등 일단 외형적인 면에서 기분 좋은 출발을 보였다. 북쪽이 남쪽의 제안을 사실상 거의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우선 일반적 예상과 달리, 남쪽 대표단의 평양 방문과 서울 귀환 때 개성을 거쳐 개성~평양 고속도로를 이용하기로 남북이 쉽게 합의했다. 개성~평양 고속도로는 승용차 주행 속도가 시속 80㎞ 안팎이라 경호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그러나 양쪽은 ‘실무적 판단’보다는 ‘남북 관계의 진전을 대내외에 크게 과시할 수 있다’는 ‘정무적 판단’에 무게를 두었다. 외교 관례에 비춰 볼 때 노무현 대통령의 전용차량이 직접 평양까지 간 뒤, 그 차량을 체류기간 동안 이용하는 것은 파격적 조처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경호차량까지 동행한다. 남쪽 수석대표인 이관세 통일부 차관은 “북쪽이 먼저 얘기를 했다”고 밝혔다. 육로 방북에 합의함으로써, 회담 결과에 따라서는 정상회담 마지막날인 30일에 노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개성공단을 함께 방문할 가능성도 점쳐 볼 수 있다. 공식수행원·특별수행원·일반수행원의 차량 이용 문제는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대표단 규모도 노 대통령 내외와 수행원 150명 및 기자 50명으로, 1차 때보다 20명이 늘었다. 남쪽은 정상회담 7일 전인 21일까지 대표단 명단을 북쪽에 전달하기로 했다. 1차 때를 준용해 보면, 대표단에는 문재인 청와대 비서실장, 김만복 국가정보원장, 이재정 통일부 장관 등 정부 쪽 관계자를 비롯해 정치·경제·문화·언론·스포츠 쪽 인사들이 망라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청와대가 ‘경협’을 핵심 의제로 삼은 만큼, 경제 쪽 인사들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제는 지난 5일 작성된 ‘노무현 대통령의 평양방문에 관한 합의서’에 명시된 △한반도 평화 △민족 공동 번영 △조국통일의 새 국면 등 세 가지로 의견을 모았다.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은 “이번 합의에 비춰 볼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앞으로 북핵 문제와 북-미 관계 정상화를 포함해 한반도 정세를 주도해 나가고, 국제적으로는 신뢰할 만한 지도자라는 인상을 심어주려 할 것”이라며 “평화와 인도주의 문제 등에서 ‘통 큰’ 행보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노 대통령이 방북 기간에 김 위원장과 가질 만남과 회담 횟수, 참관지 등 세부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1차 정상회담 때 쟁점이 된 금수산궁전 참배 문제에 대해 이관세 차관은 “그런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남쪽은 정상회담 7일 전 선발대 30명을 평양에 보내 회담을 미리 준비하기로 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의제 ‘평화·번영·통일 새국면’ 3개 큰틀 마련 14일 개성에서 열린 제2차 남북 정상회담 차관급 준비접촉에서 남북은 △왕래 절차 △대표단 규모 △회담 의제 등 정상회담 준비에 필요한 큰 골격에 대해 전격적으로 합의했다. 특히 남북은 경의선 도로를 이용한 남쪽 대표단의 방북에 합의하고, 대표단 규모도 1차 정상회담 때보다 20명 늘리는 등 일단 외형적인 면에서 기분 좋은 출발을 보였다. 북쪽이 남쪽의 제안을 사실상 거의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우선 일반적 예상과 달리, 남쪽 대표단의 평양 방문과 서울 귀환 때 개성을 거쳐 개성~평양 고속도로를 이용하기로 남북이 쉽게 합의했다. 개성~평양 고속도로는 승용차 주행 속도가 시속 80㎞ 안팎이라 경호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그러나 양쪽은 ‘실무적 판단’보다는 ‘남북 관계의 진전을 대내외에 크게 과시할 수 있다’는 ‘정무적 판단’에 무게를 두었다. 외교 관례에 비춰 볼 때 노무현 대통령의 전용차량이 직접 평양까지 간 뒤, 그 차량을 체류기간 동안 이용하는 것은 파격적 조처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경호차량까지 동행한다. 남쪽 수석대표인 이관세 통일부 차관은 “북쪽이 먼저 얘기를 했다”고 밝혔다. 육로 방북에 합의함으로써, 회담 결과에 따라서는 정상회담 마지막날인 30일에 노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개성공단을 함께 방문할 가능성도 점쳐 볼 수 있다. 공식수행원·특별수행원·일반수행원의 차량 이용 문제는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대표단 규모도 노 대통령 내외와 수행원 150명 및 기자 50명으로, 1차 때보다 20명이 늘었다. 남쪽은 정상회담 7일 전인 21일까지 대표단 명단을 북쪽에 전달하기로 했다. 1차 때를 준용해 보면, 대표단에는 문재인 청와대 비서실장, 김만복 국가정보원장, 이재정 통일부 장관 등 정부 쪽 관계자를 비롯해 정치·경제·문화·언론·스포츠 쪽 인사들이 망라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청와대가 ‘경협’을 핵심 의제로 삼은 만큼, 경제 쪽 인사들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의제는 지난 5일 작성된 ‘노무현 대통령의 평양방문에 관한 합의서’에 명시된 △한반도 평화 △민족 공동 번영 △조국통일의 새 국면 등 세 가지로 의견을 모았다. 김성배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은 “이번 합의에 비춰 볼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앞으로 북핵 문제와 북-미 관계 정상화를 포함해 한반도 정세를 주도해 나가고, 국제적으로는 신뢰할 만한 지도자라는 인상을 심어주려 할 것”이라며 “평화와 인도주의 문제 등에서 ‘통 큰’ 행보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노 대통령이 방북 기간에 김 위원장과 가질 만남과 회담 횟수, 참관지 등 세부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1차 정상회담 때 쟁점이 된 금수산궁전 참배 문제에 대해 이관세 차관은 “그런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남쪽은 정상회담 7일 전 선발대 30명을 평양에 보내 회담을 미리 준비하기로 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