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5일 동안 계속된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평안남도 북창군 북한 주민들이 천막생활을 하고 있다. 촬영일자가 밝혀지지 않은 이 사진은 17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전해졌다. 평양/조선중앙통신 연합
정부, 이르면 다음주 초부터
정부는 최근 심각한 수해를 입은 북한에 생필품과 의약품 등 71억원어치의 긴급구호 물품을 이르면 내주 초부터 지원하기로 했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의 이재민 발생에 따라 라면·생수·분유 등 식량과 담요·취사도구 등 생활용품, 긴급 구호약품 등 모두 71억원 상당의 물품을 지원할 것”이라며 “수해 복구에 필요한 자재·장비 지원은 추후 북쪽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가능하면 내주 초에 지원이 시작될 수 있도록 준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또 이날 오후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15개 부처 장관이 참석한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북한 수해와 관련한 유엔 공여국지원그룹(ODSG)의 대북 지원에도 적극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국제개발처(USAID)도 북한에 10만달러 규모의 인도주의적 지원을 승인했다고 주한 미국대사관 쪽이 이날 밝혔다. 미국 구호단체인 ‘머시 코어’와 ‘사마리탄즈 퍼스’가 국제개발처로부터 각각 5만달러씩을 지원받아 북한에 담요와 비상용품, 식수통 및 기타 필요한 물품을 보내게 된다고 대사관 쪽은 설명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한 달 동안 모두 50만명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긴급 식량지원 프로그램을 북한 쪽에 제안해, 북한 쪽의 반응을 기다리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한편 정부 고위 당국자는 17일 제2차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해, “북한의 정치적 특성상 (남북 정상이) 단독회담을 많이 하며 모든 의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많은 얘기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고, 두 정상이 충분히 얘기를 나눌 수 있도록 지금 조율해 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또 남북 경협에 대해 “이번 회담에서는 경공업과 개성공단 등 이미 남북 사이에 이뤄진 사업을 더욱 발전시키고, 남북 경제공동체 지향을 위해 필요한 부분은 의제로 계속 다듬고 있다”며 사회기반시설 확충 및 중공업 분야도 의제로 검토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이용인 신승근 이재명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