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도 ‘이견설’ 부인
김장수 국방장관이 15일 북방한계선(엔엘엘·NLL) 문제와 관련한 자신의 발언을 다룬 일부 언론 보도를 “사실과 다른 왜곡”이라며 부인했다.
김형기 국방부 홍보관리관은 “일부 언론에서 김 장관이 ‘이름을 걸고 엔엘엘을 지키겠다’ ‘책임 문제가 나오면 내가 책임진다’고 했다는데 이는 발언의 전후 맥락을 왜곡한 것”이라며 “김 장관은 ‘대통령으로부터 임명을 받는 정무직 장관이 어떻게 그런 식의 발언을 할 수 있느냐’며 직접 이를 바로잡을 것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한 국방부 당국자는 “장관이 아침에 보도 내용을 보고 ‘어떻게 이런 내용이 나올 수 있냐’며 매우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날치 <중앙일보>와 <조선일보>는 김 장관이 12일 남북 정상회담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참모들과 한 회의에서 장관직과 이름을 걸고 엔엘엘을 지키겠다는 소신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여러 국방부 당국자들의 발언을 종합하면, 김 장관은 12일 오전 간부회의와 오후 육·해·공군 참모총장들과 한 정책간담회에서 각각 북방한계선과 관련한 당부 발언을 했다. 국방부 고위 당국자는 “오전 간부회의에서 김 장관은 ‘공동어로수역과 엔엘엘 문제에 대해서 말들이 많은데 주무 장관인 내가 참모들과 지혜를 모아 잘 풀어갈 테니, 현역 지휘관들은 동요 없이 맡은 임무에만 충실하라’고 당부했다”며 “책임진다 어쩐다는 내용은 전혀 없었다”고 전했다.
청와대도 이날 김 장관 발언에 대한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국방부에 확인한 결과 “사실이 아니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밝혔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청와대도 남북기본합의서의 원칙대로 엔엘엘을 지킨다는 원칙에 변함이 없다”며 ‘청와대와 김 장관의 이견설’을 부인했다.
그러나 여전히 북방한계선을 영토 개념으로 볼 수 있느냐는 부분을 두고는 군 일부와 청와대가 다른 판단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김 홍보관리관은 “사실상 분단 상황에서 헌법 조항을 계속 얘기하면 혼선이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헌법에 비춰 북방한계선을 영토 개념으로 봐선 안 된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과는 긴장을 빚는 지점이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