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국방장관회담 이틀째
“후속회담으로 넘길 수도”
“후속회담으로 넘길 수도”
남북은 제2차 국방장관회담 이틀째인 28일 평양 송전각 초대소에서 전체회의와 실무대표 접촉을 잇달아 열어 본격적으로 합의문을 조율했다. 문산-봉동 화물열차 통행과 해주직항 등 경협 현안과 관련한 군사보장 문제에선 일정한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공동어로구역 설치 문제를 두곤 밤 늦게까지 절충을 거듭했다.
남북 수석대표(단장)는 이날 전체회의 머리발언을 통해 각각 “평행선 분야가 많다. 접근해야 하는데 …”(김장수 국방장관), “잘 안 되는 감이 있다. 오늘 잘해 봅시다”(김일철 인민무력부장)라며 상대방의 양보를 압박했다. 공동어로구역과 관련해, 양쪽은 북방한계선(NLL)을 설정 기준으로 명시하지 않으면서도 이면으로는 이를 중심으로 공방을 벌이는 고도의 심리전을 펼쳤다. 남쪽은 어족자원과 중국어선의 침탈 등의 설정기준으로 들어, 사실상 북방한계선을 중심으로 남북 비슷한 면적이 포함되는 방안을 제시했다. 북쪽은 북방한계선 폐지 주장을 하지 않으면서도 북방한계선 남쪽 수역을 설치 구역으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최대한 타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공동어로구역 설치는 후속회담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되면, 남북은 경협 군사보장을 중심으로 합의문을 내놓게 될 것으로 보인다.
남쪽은 이날 군사적 신뢰구축 과제로 최고 군사당국자(국방장관) 간 직통전화(핫라인) 개설과 국군포로의 생사확인, 북쪽 지역에서의 6·25 전사자 유해 공동발굴사업 등을 강조했다. 또 북쪽이 강조하는 서해 해상불가침경계선 설정 등 군사적 신뢰구축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차관급을 위원장으로 하는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조기에 가동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강하구 개발과 서울∼백두산 직항공로 개설 등의 군사적 보장조처도 우선적으로 해결하자고 제의했다.
남북은 29일 수석대표·실무대표 접촉을 계속한 뒤 오후 종결 전체회의를 열어 회담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손원제 기자, 평양/공동취재단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