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적십자회담서 합의…국군포로·납북자 문제 진전없어
내년부터 분기별로 한 차례 남북한 이산가족 화상상봉이 정례화된다.
남북은 제9차 적십자회담 마지막날인 30일, 내년부터 분기별로 한 차례 이산가족 화상상봉을 하고 영상편지를 교환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이번 핵심의제인 이산가족 상시상봉 문제를 놓고 남쪽은 매달 1회 상봉을 주장하고, 북쪽은 분기별 1회 상봉을 주장해 회담이 진통을 겪었다.
남북은 그동안 광복절이나 추석 등 주요 기념일에 남북 각각 40가족씩 비정기적으로 하던 것을 화상상봉을 분기별로 한 차례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영상편지도 남북 총리회담 합의에 따라 내년 초 각각 20가족의 영상편지를 시범 교환한 뒤 분기별로 한 차례 하기로 했다.
남쪽 홍양호 대표는 “북쪽이 이산가족 생사확인의 어려움 등 현실적인 문제를 호소해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사업에서 남쪽이 완화된 안을 전달했지만 상시상봉은 현재로서는 매달 실시하는 데서 한 걸음도 물러설 수 없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북쪽도 정상회담과 총리회담 합의대로 이산가족 상봉을 확대하고 정례화한다는 데는 동의했지만, 양쪽이 생각하는 정례화 수준에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양쪽은 이날 오전과 오후 수석대표 접촉을 통해 이견 조정을 했으나 오후까지 접점을 찾지 못했다.
한편 ‘전쟁시기와 그 이후 소식을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의 문제를 협의해 나간다’는 총리회담 합의에도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는 지난 4월 열린 제8차 적십자회담의 합의 수준에 머물렀다. 남쪽은 이산가족 대면상봉 횟수가 늘어나면, 특수이산가족 형태인 국군포로·납북자 가족의 상봉 규모도 자연스럽게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강산/공동취재단,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