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협 10돌 기념식서 밝혀
한나라당도 “재개해야”
한나라당도 “재개해야”
김하중 통일부 장관이 3일 “인도주의 정신과 동포애에 입각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대북 식량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10돌 기념식에서 “(세계식량계획 등) 국제기구가 북쪽 식량 사정이 심각하다고 하고, 국내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므로 주무 장관으로서 지금보다는 적극적인 자세로 이 문제를 다뤄 나가겠다”며 이렇게 밝혔다.
김 장관의 발언은 정부가 세계식량계획(WFP)의 거듭된 대북 식량지원 요청에 대해 분명한 태도를 밝히지 않고 있는 가운데 고위 공직자로서는 처음으로 적극적인 태도를 밝힌 것이어서 주목된다.
김 장관은 “가능한 한 긍정적으로, 가능한 한 빨리 대북 식량지원 문제를 검토하겠으나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사건, 각계 의견 수렴 등 고려 요소가 많다”며 “어떤 형식이 되든 인도주의 정신에 따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한나라당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는 정부가 대북 식량지원을 재개해야 한다는 의견이 잇따라 제기됐다.
남북의료협력재단 이사장이기도 한 정의화 의원은 “정부가 세계식량계획의 베이징 기자회견을 듣고 난 뒤 판단하겠다며 식량지원 재개 결정을 유보했다. 이제 기자회견도 끝났으니 정부가 전향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당 지도부가 청와대와 협의를 잘 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남경필 의원도 “북한이 남쪽 민간단체로부터 지원을 받겠다고 하는 등 북한의 자세도 변하고 있다”며 “정부도 세계식량계획의 요청을 수락해 조건 없이 대북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상수 의원도 인도적인 차원에서 정부가 즉각 대북 식량지원을 재개할 것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홍준표 원내대표는 “정부가 옥수수 5만톤을 지원하려고 했지만, 북한이 거절했다. 주려고 해도 안 받는데 어떻게 하느냐”고 이의를 제기했다. 이에 남 의원은 “세계식량계획 등 국제기구를 통해 모니터링을 하면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 참석자는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가 어떤 결정을 내리는 자리는 아니지만, 대체로 투명성이 보장된다면 정부의 인도적 지원이 재개돼야 하는 것 아니냐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전했다.
권혁철 조혜정 기자 nura@hani.co.kr
권혁철 조혜정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