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희 국방장관이 6일 “4·3 사건은 사건을 주동하고 개입한 남로당의 사주를 받은 사람들이 일으킨 무장폭동이라는 것이 국방부의 일관된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2004년 군사편찬연구소가 4·3 사건을 무장폭동에서 무장소요로 수정했는데 정권교체 뒤 다시 무장폭동으로 수정한 것은 역사 역주행 아니냐’는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 그러나 이 장관은 무장폭동을 주도하고 개입한 세력과 그 사건에 따라 희생된 무고한 사람들은 서로 별개라고 덧붙였다.
이 장관은 “2004년 당시 국방부는 4·3 사건이 무장폭동이란 입장이었고, 수정을 요청한 (4·3관련 단체) 쪽은 무장봉기라고 표기해달라고 했다”며 “(합의가 어려워) 양쪽의 입장은 그대로 둔 채 소요사태로 (절충해) 표기하기로 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애초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제주 4·3 사건’을 ‘좌익세력의 반란’으로 표기해 달라고 교육과학기술부에 요청했다가, 논란이 일자 지난달 ‘좌익세력의 무장 폭동’으로 수정 제안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