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P “인도주의적 긴급상황”
북한의 식량사정이 ‘만성적인 식량난’ 단계에서 ‘극심한 식량 및 생계위기’를 지나 ‘인도주의적 긴급상황’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장 피에르 드 마저리 세계식량계획(WFP) 평양사무소장이 밝혔다.
마저리 소장은 22~23일 서울 한국언론회관에서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와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공동 주최로 열리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미래’ 주제의 국제학술회의에 앞서 미리 배포한 발표문에서 북한 주민들의 식량 입수 경로를 설명하면서 이렇게 분석했다.
그는 분석 근거로 북한에서 경작 외에 수렵이나 채집을 통해 식량을 얻는 인구가 공공배급 대상자의 경우 2003~2005년 평균 50% 선에서 올해 70%를 넘어섰다는 점을 들었다. 또 친지로부터 식량을 지원받는 도시민의 비율이 2003~2005년 60% 초반에서 올해 80%를 넘어섰고, 하루 세 끼를 먹는 비율은 공공배급 의존층에서 10명 중 2.5명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식단 역시 단조로워져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식품군만을 섭취하는 주민 비율이 각각 42%와 39%에 이르렀다.
마저리 소장은 “비료나 연료 부족 탓에 2008~2009년 수확량도 불확실하고 대규모 식량 수입도 기대할 수 없다”며 “북한의 식량난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로동신문>은 22일 식량 문제와 관련해 “우리에게 생명선처럼 귀중한 것은 바로 쌀, 식량” “일심단결과 우월한 사회주의 제도가 있는 우리에게 이제 먹을 것만 많으면 두려울 것이 무엇인가”라고 절박한 인식을 드러냈다. 신문은 “오늘의 이 엄중한 식량위기 앞에서 믿을 것은 오직 하나 우리의 힘과 노력뿐”이라며 자체 해결 의지를 강조했다.
김하중 통일부 장관은 이날 국제학술회의 기조연설에서 “인도적 견지에서 북한 동포들의 식량난 해결을 도와 나갈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