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업체 대표들이 13일 오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사무국에서 김하중 통일부 장관(왼쪽 두번째)과 면담한 뒤 사무국을 나서며 인사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개성공단 입주업체 대표들, 통일부장관 만나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 21명은 13일 오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김하중 통일부 장관을 만나 일부 민간단체의 대북 선전 전단(삐라) 살포 중단과 군 통신망 자재장비 제공 등 개성공단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라고 요청했다.
문창섭 개성공단기업협의회 회장은 이날 “정부가 (북한의 경고에) 적절하게 행동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면 남쪽 근로자 추방, 일부 입주기업 철수, 공단 폐쇄라는 단계적 조처를 취할 수 있다”며 “한번 공단이 폐쇄되면 복원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요즘 입주 기업인들은 속이 타들어가는 절박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면담에서 입주기업 대표들은 그동안 정부의 대처가 안일했다고 성토하고, 일부 기업들은 상황이 더 악화돼 기업 피해가 생기면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민사소송을 낼 수도 있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문 회장은 “민간단체의 삐라 살포에 대한 적극적인 중단 조처와 재발방지, 북쪽 근로자 기숙사 착공, 노후화된 군통신 정상화 장비 제공 등 남북경협 추진 의지를 정부가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하중 장관은 “민간단체의 전단 살포 문제는 민간단체에 여러 차례 부탁을 했는데 말을 안듣고 있다”며 “원만히 해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