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비상상황반 운영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건강이상설 등을 담은 대북 전단 살포 활동을 벌여 온 민간단체들은 25일 “앞으로도 대북 전단을 계속 보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전단 살포를 ‘최고 존엄’(김 위원장) 훼손으로 규정하고 반발해 온 터여서, 남북관계의 추가적 악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와 최성용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이날 정부중앙청사 별관 로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대북 전단지 살포를 3개월간 중단하려고 했으나, 24일 북한의 개성관광·경의선 중단 등의 조처를 보고 계속 보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정부의 대북정책 결정에 시간적 여유를 주고 북에도 전향적인 대화와 정책 선택의 기회를 주기 위해서 전단 살포 중지를 검토했으나, 북한은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게 아무 것도 없다는 점을 어제 행동으로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박상학 대표는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사건에 대한 공개사과와 정부에 대한 비방중상 중단, 탈북자·납북자·국군포로 생사확인, 이산가족 상봉 문제의 해결이 없는 한 지금보다도 더, 훨씬 많이 계속 전단지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전날 북한의 ‘남북관계 차단’ 조처 통보와 관련해 김천식 통일부 통일정책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비상상황반을 꾸리고 현지 상주인력의 철수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비상상황반은 개성공단관리위원회와 경협협의사무소 등 북쪽 지역에 머무는 남쪽 인원의 철수 대책을 마련해 실행한다. 정부 관계자는 “철수할 인력도 예고된 체류시한인 오는 30일까지는 가급적 오래 남아 지원 업무를 할 계획”이라며 “다음달 1일부터 운행이 중단되는 문산~봉동 경의선 철도도 이달말까지 예정된 운행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