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관광 중단을 앞두고 마지막 관광에 참가했던 남쪽 관광객들이 28일 오전 경기 파주시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남쪽으로 돌아오며 손을 흔들고 있다. 파주/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경협협의사무소 폐쇄로 직원 7명 돌아와
북 “상주인원 1600여명으로 제한” 통보
북 “상주인원 1600여명으로 제한” 통보
개성공단 체류 남쪽 인력의 철수가 28일 시작됐다. 개성관광과 경의선 열차 운행도 이날 일정을 끝으로 중단됐다. 다음달부터 남쪽 인력의 육로통행을 제한·차단하고, 개성공단 체류 인원을 축소한다는 북한의 24일 통보에 따른 것이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28일부로 개성 경협협의사무소를 폐쇄하고, 관련 인력을 철수했다”고 밝혔다. 사무소 인력 7명은 이날 오후 4시30분 경의선 군사분계선(MDL)을 지나 남쪽으로 철수했다. 개성관광객 210명을 실은 마지막 개성관광 버스 6대도 오후 5시 남쪽으로 돌아왔다. 오전 9시30분께 북쪽 봉동역을 향해 떠났던 경의선 열차도 오후 2시 다시 남쪽 도라산역으로 복귀해, 마지막 운행을 마쳤다.
북쪽은 이날 오전 개성공단 상주 인원을 1600여명으로 제한하겠다고 남쪽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김호년 대변인은 “일부 연락을 받지 못한 기업들도 있어 협의를 계속하고 있다”며 “최종적으로는 1600~1800명 사이에서 체류 인원이 정해질 것 같다”고 말했다. 북쪽은 개성공단관리위의 경우 남쪽이 요청한 30명보다 많은 37명의 상주를 허용하는 등 유연한 자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쪽은 개성공단 체류증을 가진 4168명 가운데 2000여명의 잔류를 희망한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4168명 가운데 실제 개성공단에 상주하는 인력은 1500~1700명 정도이고, 나머지는 교대인력이나 필요에 따라 왔다갔다 하는 인원”이라고 말했다. 1600~1800명으로 체류인원이 축소돼도 실제 상주 규모는 줄지 않아, 생산활동을 크게 제약하진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 입주기업 대표도 “50명 상주를 신청해 40명을 인정받았지만, 현장 생산과정 관리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체류증 축소로 수시 왕래가 어려워질 경우 이후 전반적 기업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른 입주기업 대표는 “현장 상주 인원은 4명 모두 남지만, 개발팀과 자재팀, 임원 등 왕래 인원은 16명 가운데 4명만이 체류증을 유지하게 됐다”며 “공장과 본사 사이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은 체류증만 있으면 별도 허가없이 수시로 공단을 오갈 수 있지만, 앞으론 따로 절차를 밟아야 해 시간과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정부는 북쪽과 체류 인원 감축 협의가 마무리돼 남을 사람과 떠날 사람이 확정되는 대로 추가 인력 철수에 나서기로 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28일 밤 개성공단에 잔류한 남쪽 인원은 1344명”이라며 “북쪽과 협의를 마치는 대로 이달 말까지는 철수 대상의 복귀를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북한의 육로 통행 제한.차단과 상주인력 감축 등을 담은 `12.1 조치‘에 맞춰 28일 마지막 운행을 한 열차 경기 파주시 도라산역에 정차해 있다. 파주/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