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래 계속 허용할지 불투명
북한이 17일 남북 사이 육로 통행을 다시 전면 허용했다. 전날 개성공단 남쪽 인력의 귀환을 허용한 데 이어 이날은 개성공단과 금강산지구 방북길까지 한꺼번에 다 열었다.
13일 이후 방북이 차단된 탓에 물자와 인력 부족에 시달리던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불만을 달래려는 조처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이후로도 계속 왕래가 허용될지는 분명하지 않다. 북쪽은 9일 “키리졸브 훈련기간(9~20일) 북남관리구역에 더욱 엄격한 군사적 통제를 실시할 것”이라며 남북 군통신선을 끊은 바 있다.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전 10시께 북쪽으로부터 오늘자 출입경 계획에 대한 동의서가 왔다”며 “10시30분과 11시5분께 두 차례 방북 예정자들의 출경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북쪽의 방북 허용으로 이날 287명이 경의선 육로를 통해 개성공단을, 4명이 동해선 육로를 통해 금강산을 방문했다. 또 각종 원·부자재와 식량, 가스 등 생활물자를 실은 차 184대도 개성공단으로 들어갔다. 이날 오후엔 개성공단에서 205명, 금강산에서 8명이 남쪽으로 돌아왔다.
김 대변인은 북한의 통행 전면 허용에 대해 “북한이 위반을 해 일어난 상황에서 동의서를 보내온 것은 당연한 조처”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18일도) 동의서가 올지 여부는 판단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18일 개성공단 인력 700명의 출·입경 계획을 이날 오후 북쪽에 전달했다.
이날 건설사 등 일부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 50여명은 출경이 이뤄진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에서 “방북 신청을 했는데도, 통일부가 임의로 명단을 삭제해 방북길이 막혔다”며 항의했다. 김 대변인은 “출입 상황이 불안정하고 유동적이어서 업체들에 필요한 최소한의 인원만 출경하도록 협조 요청을 하고 있다”며 “(정부가 명단을 삭제한 게 아니고) 업체들이 정부 입장을 이해(하고 자율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