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당국자 후속 접촉을 위한 남쪽의 공식 제의가 임박한 것으로 7일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르면 다음주 안에 지난달 21일 열린 ‘1차 개성접촉’의 후속 접촉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금명간 다음 접촉의 시기와 장소, 의제 등을 담은 통지문을 북쪽에 전달하기로 하고, 이명박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10~14일) 일정 등을 고려해 접촉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정부 제의와 북쪽 반응에 따라 이르면 순방 직후인 다음주말께 접촉이 이뤄질 가능성도 예상된다.
정부는 접촉 장소로는 지난해 말 북쪽의 ‘12·1 조처’로 폐쇄된 개성 내 남쪽 기관인 남북경협협의사무소 또는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사무실을 제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북쪽은 지난 4일 개성공단관리위원회를 통해 보내온 대남 통지문에서 “6일 오전 10시 개성 남북경협협의사무소에서 접촉을 갖자”고 제안해왔다. 북쪽은 지난달 1차 접촉에선 북쪽의 개성공단 관리책임기관인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사무실에서 접촉을 하자고 주장했다. 남북 당국 사이 대화에선 한번씩 상대 쪽으로 장소를 바꾸는 게 관례다.
북쪽은 또 대남 통지문에서 지난 개성접촉 때 대표로 나섰던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 등 5명의 대표단 명단을 알려왔다. 북쪽은 특히 통지문에서 “남쪽이 (후속 접촉 제의와 관련해) 시간을 더 끌면 좋지 않은 영향이 있을 것이며, 우리의 협상 제의를 기회로 활용할지는 남쪽에 달려있다”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정부는 “6일 접촉은 준비 관계로 시간상 어렵고, 추후 접촉 일정과 의제를 서로 협의한 뒤 우리 쪽 제안을 공식 전달하겠다”는 내용의 답을 개성공단관리위를 통해 북쪽에 전달했다. 정부는 이어진 협의 과정에서 비공식적으로 후속 접촉 일정과 장소, 의제 등과 관련한 남쪽 의사를 전달하고 북쪽 반응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사전협의 과정에서 특히 의제 조율에 어려움이 컸다”며 “우리는 현대아산 ㅇ씨 문제를 우선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쪽인 반면, 북쪽은 ㅇ씨 문제는 논의 대상이 아니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쪽은 지난 1차 접촉에서 개성공단 노동자 임금인상·토지사용료 조기지불 등 기존 계약의 재협상을 요구했다. 북쪽은 ㅇ씨 문제에 대해선 지난 1일 “남쪽 당국이 이 문제를 언급할 경우 사태는 더욱 엄중해지며 개성공업지구 사업에도 이로울 것이 없다”고 논의 거부 의사를 밝혔다.
정부가 후속 접촉 일정을 공식제의하기로 한 것은, 일단 2차 접촉을 통해 ㅇ씨 문제에 대한 남쪽의 요구를 다시 전달하고 북쪽의 호응을 촉구하는 기회로 활용하자는 쪽으로 방침을 정리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럴 경우 2차 접촉에서 북쪽 총국이 ㅇ씨 문제 논의를 계속 거부하면 접촉이 파행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다른 정부 관계자는 “이후 대화 모멘텀을 계속 이어가려면, 북쪽이 논의를 거부하는 상황에 대비한 이른바 ‘플랜 비’도 준비해야 한다”며 “총국 아닌 북쪽 해당기관과 ㅇ씨 문제를 논의할 별도 협의 통로를 열자고 제기하는 방안 등이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