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문제 제기에 반발…2차 개성접촉 난항 예고
남북이 지난달 21일 열린 ‘1차 개성 접촉’의 후속 협의 일정·의제 등을 조율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9일 “(남쪽이) 우리를 공공연히 중상모독하고 노골적으로 부정해 나선 조건에서 북남 사이의 대화에 대해서는 논의할 여지조차 없다”고 밝혔다.
조평통은 이날 ‘대변인 담화’에서 제성호 인권대사의 ‘북한 접경지역 탈북자 정착촌 건설’ 발언, 허철 평화외교기획단장이 방미해 탈북자 및 북한 인권 문제 등을 협의한 것을 “반공화국(반북) 인권소동”이자 “(북쪽의) 존엄과 체제에 대한 전면부정, 전면도전”이라고 규정하며 이렇게 주장했다.
북한의 대표적 대남기구인 조평통이 남북대화 거부로 해석될 수도 있는 주장을 함으로써, 이르면 이번주에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2차 개성 접촉’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모인다.
일단 정부 당국자는 10일 “조평통 대변인 담화의 주된 내용은 북한 인권문제 전반에 대한 반응이고, 현재 남북이 협의중인 개성 접촉에 대한 북쪽의 직접적 반응으로 단정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개성 접촉은 북쪽에서 먼저 하자고 제안했으니, 개성 접촉 자체가 무산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깔려 있다. 북쪽은 개성 접촉을 남북 당국간 공식 회담으로 간주하지 않고 있으므로, 상황 전개 양상이 다를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2차 개성 접촉’이 성사되더라도 협의가 순탄하지는 못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 조평통은 “(남쪽이) ‘현대아산 직원 억류문제’에 대한 협조를 상전(미국)에 요청하는 추태를 부리었다”고 주장해, 남쪽이 중시하는, 북쪽에 억류중인 현대아산 직원 ㅇ씨 문제 협의에 선선히 응하지 않을 것임을 내비쳤다. 북쪽은 임금·토지사용료 등 개성공단 운영문제만을 다루자고 나오고, 남쪽은 ㅇ씨 문제를 포함한 현안을 두루 다루자고 할 경우 접점을 찾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