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양호 통일부 차관(오른쪽에서 두번째)이 개성공단 법규 및 계약과 관련해 업체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18일 서울 종로구 에이더블유(A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 간담회에 참석해 자리를 권하고 있다.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북쪽 응답 안해…정부, 억류직원 분리협상 검토
우리 정부가 지난 15일에 이어 북한에 만나자고 새로 제시한 날짜인 18일에도 북쪽이 응답하지 않아, 2차 당국간 개성 접촉(남쪽은 개성 실무회담으로 부름)이 다시 한 번 무산됐다. 정부는 당분간 개성공단관리위원회를 통해 북쪽에 후속 실무접촉에 나오도록 지속적으로 촉구할 방침이다.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은 오늘 남북 개성 실무회담을 열자는 우리 제안에 호응해오지 않고 있다”며 “오늘 회담은 사실상 열리기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남북회담이 여기서 중지돼서는 안 될 것”이라며 “정부는 앞으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회담을 제의할 생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다시 통지문을 보낼 경우 북쪽이 받지 않을 가능성이 커, 일단은 관리위를 통해 북쪽 의사를 타진하는 방식으로 제안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대아산 직원 ㅇ씨 문제를 후속 접촉 의제에서 원천적으로 떼어내는 방안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 대신 일단 후속 접촉에서 ㅇ씨 문제를 제기하되, 북쪽 소관부서와 별도로 논의 채널을 여는 방식으로 내용적 분리를 한다는 복안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만난 자리에서 이런저런 북한의 답변에 따라 (이후 별도 채널로 논의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는 있지만, 대화 의제로 삼지 않는다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고위 관계자는 또 “특사를 보낸다 할 때 북쪽이 못 받는다고 하면 우리가 쓸 수 있는 카드가 끝나버리는 것”이라며 “고위급 회담도 실효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효용이 없다”고 덧붙였다. 손원제 황준범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