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2차 핵실험]
일부 “예고됐던 것” 노전대통령 서거와 연결 경계
일부 “예고됐던 것” 노전대통령 서거와 연결 경계
25일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시민들과 시민사회단체는 대체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한 상황에서 핵실험이라니 당혹스럽다”며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참여연대는 이날 논평을 내어 “핵은 대량살상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반인륜적인 무기이므로 핵을 북한이 대외협상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 자체를 반대한다”며 “더욱이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온 국민이 비통해하고 있는데 그런 부분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북한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하승창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도 “북한이 ‘서거 정국’에서 핵실험을 강행한 것은 남북관계보다는 대외관계를 더 고려한 조처로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이날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에 마련된 노 전 대통령의 분향소를 찾은 이정희(41·주부)씨는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한 시점에 왜 핵실험을 해야했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박민영(27·회사원)씨는 “노 전 대통령이 남북 10·4 공동선언을 이끌어내는 등 남북 화해를 위해 적극적으로 일했는데,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조의를 표시해 놓고 핵실험은 핵실험대로 강행하다니 화가 난다”고 말했다.
보수 성향의 바른사회시민회의는 “북한 핵실험은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범죄행위이자, 국제사회 핵확산 방지 노력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처사라는 점에서 강력히 규탄한다”며 “또한 전직 대통령 서거로 전국이 비통한 상황에서 남남갈등을 부추길 우려가 있는 등 도의적으로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욱식 평화네트워크 대표는 “남한이 국상을 당한 상황에서 북한이 자제를 했더라면 더 좋았을텐데 유감스럽다”며 “그러나 북핵 실험은 스케줄이 짜여 있었던 만큼, 남남갈등을 촉발시키려는 의도라고 해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도 “북한은 지난달 24일 이후 유엔의 제재조처가 실질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에 대한 대응이 필요해 핵실험을 예고하고 강행한 것”이라며 “노 전 대통령 서거와 연결시킬 필요는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ji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