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로 날아가 숨어 있는 잠수함을 타격하는 대잠수함 유도무기 ‘홍상어’가 구축함에서 수직으로 발사되고 있다. 이 ‘홍상어’는 로켓에 실려 적 잠수함이 있는 해상으로 날아갔다가 낙하산을 이용해 떨어진 뒤 수중으로 항해해 잠수함을 타격하게 된다. 국방과학연구소 제공
미국 이어 두번째
내년부터 실전배치
내년부터 실전배치
방위사업청과 국방과학연구소(ADD)는 22일 로켓에 실려 적 잠수함이 발견된 바다까지 날아가 타격하는 대잠유도무기인 ‘홍상어’ 개발을 완료해 내년부터 실전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잠 로켓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국내기술로 개발됐다.
홍상어는 소리보다 늦을 수밖에 없는 기존 어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적 잠수함이 숨어있는 바다 바로 상공까지 로켓처럼 날아가 물속으로 들어간다. 홍상어가 물속으로 들어가는 순간 어뢰가 되어 적 잠수함이 어뢰음을 포착해 도망칠 시간을 주지 않고 돌진해 파괴한다.
국방과학연구소 관계자는 “적 잠수함을 공격하기 위해 물속으로 어뢰를 발사하면, 물은 공기보다 저항이 커서 어뢰보다 어뢰 소리가 적 잠수함에 먼저 도달하게 된다”며 “어뢰음을 탐지한 적 잠수함이 전속력으로 달아나면 적을 먼저 발견하고도 놓치기 쉽다”고 말했다.
한국형 구축함(KDX-2·KDX-3)에는 홍상어를 발사할 수 있는 한국형 수직발사관이 설치돼 있다. 미국 대잠로켓의 공중 사거리는 17㎞ 정도지만 홍상어는 이를 능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사시 북한 잠수함 70여척의 위협이 사라지면 동·서해에서 북상한 한국 구축함들은 사거리 500㎞가 넘는 함대지 순항미사일로 북한 전역을 마음대로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홍상어는 전략무기로 불린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