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자 석방 ‘별개’ 강조…“클린턴, 흥미로운 것 내게 전할것” 여운
141일 동안 북한에 억류됐던 미국 여기자 두 명이 석방된 뒤에도 미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대북 강경 기조를 유지하는 모양새를 강하게 내비쳤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5일(현지시각) <엔비시>(NBC) 방송 인터뷰에서 “우리는 북한에 관계 개선의 길이 있음을 말해왔다”며 “여기에는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고, 도발적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이 포함된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또 “두 기자의 석방을 위한 클린턴 전 대통령의 임무는 개인적 활동으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압력을 완화하는 의미를 갖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은 클린턴 전 대통령과의 면담 계획을 밝히면서 “클린턴 전 대통령이 여행에서 본 흥미로운 것들을 내게 전하리라 본다”고 말했다.
국무부도 이날 클린턴 전 대통령의 북한 방문과 핵 폐기 협상은 별개라고 밝혔다. 로버트 우드 국무부 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핵 폐기를 위한 국제적인 의무사항을 준수하길 희망하지만 우리는 지켜볼 수밖에 없다”며 “핵 복귀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이번 방북에서 한국과 일본인 억류자의 석방도 촉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6일(한국시각) 브리핑에서 “클린턴 전 대통령이 북한 쪽에 인도적 견지에서 개성 억류 근로자 ㅇ씨와 연안호 선원이 석방돼야 한다는 점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북쪽의 반응에 대해선 “전해 들은 바가 없다”고 말했다. 이런 사실은 미국 국무부 고위 당국자가 정부에 알려왔다고 문 대변인은 전했다.
가와무라 다케오 일본 관방장관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클린턴 전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일본인 납치 문제가 진전돼야 한다. 북-일 간 (지난해 8월) 합의한 납치피해자 재조사위원회를 조기에 발족시켜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미국 고위 관리에게서 전해 들었다고 밝혔다. 워싱턴 도쿄/권태호 김도형 특파원, 이용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