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전 이산가족상봉 성사 위해선 ‘시간 촉박’
적십자채널 작년 11월 끊겨…의사전달형식 고심
적십자채널 작년 11월 끊겨…의사전달형식 고심
정부는 현대그룹과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가 17일 합의·발표한 추석 전 이산가족 상봉 성사를 위해 남북적십자회담 개최를 이번 주 중 북한에 먼저 제의할 방침이다.
정부가 북쪽에 회담 개최를 먼저 제의하기로 한 데에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 전례에 비춰 볼 때 행사를 준비할 시간이 넉넉치 않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정부 관계자는 18일 “남북이 상봉 후보자 명단을 주고 받아 생사를 확인하는 데만 통상 20일 가량 걸리는 등 행사 준비에 두 달 안팎이 필요하다”며 “추석 전에 상봉이 이뤄지려면 늦어도 다음 주엔 남북적십자회담을 열어 상봉 일정, 규모 등을 합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다음 주에 남북적십자회담을 열려면 이번 주에 회담 제의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내부 판단 및 움직임과 달리 공개 방침은 다소 신중하다.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산가족 상봉문제는 추석 전에 이뤄지는 것으로 (현대와 북한이) 합의를 해온 만큼 이행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라며 “적십자회담 제의 등을 검토하고 있지만 현재 시점에서 제의 시기나 개최 시기 등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산가족 상봉을 준비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이 부대변인은 “지금까지의 경험과 관례가 있기 때문에 필요한 협의를 조속히 진행하게 되면 무리 없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판문점 남북 적십자 채널이 지난해 11월 북쪽에 의해 끊겨, 적십자회담 개최 통지문을 북쪽에 전달할 채널을 찾느라 고심하고 있다. 정부는 남북 군통신선, 해사당국통신, 주중국대사관,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창구를 통한 우회 전달 등 여러 전달 방안의 적실성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살아있는 남북 군통신선이나 해사당국간 통신 채널은 이산가족 상봉과 성격이 맞지 않는다”며 “외국에 있는 남북 공관을 이용한 회담 제의 방법은 남북당국간 대화 재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이산가족 상봉이란 민족 내부 문제를 외교문제처럼 다룬다는 지적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남북 적십자 당국이 합의한다면 이산가족 상봉은, 전례에 비춰 2박3일 일정으로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7월 완공된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에는 회담시설, 상봉 시설, 이산가족 객실 등이 갖춰져 있으며, 당장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면회소는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남북관계가 악화하며 이산가족 상봉이 이뤄지지 않아 지금껏 한번도 사용된 바 없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