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별 핵무기 보유 현황
미 핵전문가 보고서…러시아 1만3천개 ‘최다’
“세계 2만3천여개중 8천여개 즉시 발사 가능”
“세계 2만3천여개중 8천여개 즉시 발사 가능”
9월1일 현재 각 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핵탄두는 전세계적으로 2만330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미국 과학자연맹(FAS)의 핵무기 전문가인 한스 크리스텐슨과 미국 자연자원방위협의회(NRDS)의 핵 전문가 로버트 노리스가 각국 정보 등을 토대로 집계해, 핵무기 비확산방지를 위한 비영리재단 ‘플라우셰어스 펀드’ 홈페이지에 10일(현지시각) 게재한 보고서를 통해 밝혀졌다. 보고서를 보면, 세계의 핵탄두 중 8190개 가량은 곧바로 발사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다.
나라별 핵탄두 보유량은 러시아가 1만3000개로 가장 많고, 이어 미국(9400개), 프랑스(300개), 중국(240개), 영국(185개), 이스라엘(80개), 파키스탄(70~90개), 인도(60~80개), 북한(최대 10개) 등의 차례였다.
북한은 최대 10개의 전략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으나, 핵탄두를 운반하는 미사일 기술수준이 입증되지 않아 핵무기를 작전에 배치할 수 있는 수준은 아직 아닌 것으로 평가됐다. 보고서는 북한에 대해 “두 차례의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핵무기를 작전에 옮길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증거는 없으며, 미 국방부 산하 국립우주항공정보센터도 핵무기를 탑재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역량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러시아의 핵탄두 재고량 1만3000개는 폐기될 핵탄두 8150개를 포함한 전체 숫자이며, 미국의 핵탄두 재고량 9400개도 폐기될 4200개를 합한 숫자”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냉전이 끝난 지 약 20년이 지났지만, 전세계 핵탄두 보유량은 (여전히) 허용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별도로 미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SCA)은 11일 현재 미국의 무기수출 계약이 353억달러 규모라고 밝혔다. 미국의 무기수출은 이란과 북한의 군사적 긴장이 높아지면서 지난 2년새 급증했다. 무기 공급업체들인 록히드 마틴, 보잉사, 노스롭 그루먼 등이 미국 국방예산 삭감으로 국외시장으로 향하면서 미국의 무기수출은 더욱 늘고 있다.
미 의회조사국이 최근 발간한 2001~2008년 개발도상국에 대한 재래식무기 이전 현황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는 지난 8년간 64억달러어치의 각종 무기를 수입했다. 지난해에도 우리나라는 이지스 무기체계 등을 위해 2억2800만달러 규모의 미국산 무기 구매계약을 하는 등 전세계로부터 14억달러 규모의 무기를 수입했다. 한국은 또 지난해 4억달러 규모의 무기도 수출했다. 북한은 지난 2001~2004년에 개도국에 6억달러 어치의 무기를 수출했다. 이는 세계 10위권에 해당한다. 개도국 가운데는 사우디아라비아가 2001~2008년 사이에 무기수입액(349억달러)이 가장 많았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