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인사
합참의장 이상의·육군참모총장 한민구…지역안배 노력
정부는 14일 합참의장에 이상의(육사 30기) 3군사령관을 내정하는 등 8명의 국군 대장 가운데 해군·공군 참모총장을 뺀 6명을 교체했다.
육군참모총장에는 한민구(육사 31기) 육군참모차장,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에는 황의돈(육사 31기) 국방정보본부장, 1군사령관에는 정승조(육사 32기) 육사 교장이 각각 대장으로 진급해 내정됐다. 또 제2작전사령관에는 이철휘(학군 13기) 8군단장, 3군사령관에 김상기(육사 32기) 국방정책실장이 각각 대장으로 진급해 내정됐다. 이들은 15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정식 임명한다.
권두환 국방부 인사기획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태영 합참의장이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내정됨에 따라 군 대장급 인사를 하게 됐다”며 “각종 풍문이 난무하는 어수선한 분위기를 일소하고 통수체계와 지휘권 확립을 위한 조처”라고 밝혔다. 애초 10월 초·중순께로 예상됐던 대장 인사를 이날 전격 단행한 것은 인사와 관련한 온갖 풍문을 차단하려는 이명박 대통령의 의지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현역 육군 대장인 김태영 의장이 국방장관 후보자로 지명돼 육군 대장급 인사들의 연쇄 이동이 불가피해지자, 군 안팎에선 후속 대장 인사와 관련된 소문이 무성했다. 최근 군 안에는 합참의장과 육군참모총장 등에 특정인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거명된 인사안이 돌아다녀 한바탕 소동이 일기도 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대장급 인사 배경에 대해 “대장급 인사는 군 통수권 차원에서 합참의장 공석 기간을 최소화하려는 뜻으로 보면 된다”며 “이상희 현 장관과 김태영 장관 후보자의 인사 의지를 대통령이 많이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 김태영 합참의장이 18일 국회 인사 청문회를 끝내고 국방장관에 취임하더라도, 대통령의 국외 순방 및 10월1일 국군의 날 행사 일정 등으로 인사가 여의치 않아 최대 4주까지 군령권을 행사하는 합참 의장이 공석으로 남게 될 것이란 우려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대장 진급·보직자 6명 가운데 육사 출신이 5명이고 비육사는 학군(ROTC) 13기인 이철휘 제2작전사령관이 유일하다. 출신 지역을 보면 경남(합참의장), 경북(3군사령관), 전북(1군사령관), 충북(육군총장), 강원(연합사부사령관), 경기(제2작전사령관) 등 지역 안배에 신경을 쓴 모양새다. 대장 진급자 가운데에는 이명박 대통령의 포항 동지상고 후배인 김상기 3군사령관 내정자가 포함돼 있다. 육군참모총장과 연합사 부사령관은 관례적으로 야전군 사령관을 지낸 인물이 맡아왔다는 점에서 관련 경력이 없는 한민구 중장과 황의돈 중장의 발탁도 눈길을 끈다. 또 합참의장 내정자가 합참 근무 경력이 없어 합참의장을 지낸 김태영 국방장관 후보자의 영향력 확대에도 관심이 모인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